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통일부 "대북수해지원, 북 요청 있어도 이뤄질 가능성 낮아"


입력 2016.09.19 11:30 수정 2016.09.19 11:30        목용재 기자

정준희 대변인 "현재까지 북측의 대북수해 지원 요청 없어…북 실태 파악이후 고려해볼 사항"

북한 선전매체 '내나라'가 공개한 함경북도 지역의 홍수 피해 모습. 홍수로 가옥들이 파손되고 다리가 끊어지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다.ⓒ연합뉴스

정준희 대변인 "현재까지 북측의 대북수해 지원 요청 없어…북 실태 파악이후 고려해볼 사항"

북한의 함경북도 지역이 수해를 입어 각종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일어난 가운데 통일부가 북한의 수해 복구 지원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통일부는 함경북도에 수해가 난 상황에서 북한이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5차 핵실험을 지난 9일 감행했기 때문에 북한이 수해 발생에 대한 자구 노력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함께 했다. 특히 북측에서 먼저 지원 요청을 해야 대북 지원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19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긴급구호의 국제적인 원칙은 그 해당국가가 요청을 해야 되는 것이다. 아무리 어렵더라도 해당국가가 요청하지 않으면 지원하지 않는 것이 국제 관례"라면서 "현재까지는 북한의 요청이 없고 앞으로도 요청이 있을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정 대변인은 "하지만 북한의 요청이 있다 하더라도 현 상황에서는 이것이 이뤄질 가능성은 낮지 않은가 보고 있다"면서 "북쪽이 해야 될 바를 제대로 한 이후에 국제적, 우리의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타당성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수해지원은 긴급구호의 성격이기 때문에 피해상황(파악)이 우선이다. 북한의 피해실태조사가 먼저 돼야 한다는 것이 기본"이라면서 "그 피해실태, 긴급구호의 필요성, 투명성, 북한 측의 요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신중하게 (대북지원 여부를) 고려해야 될 문제"라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15일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북한에 일어난 수해로 함경북도 지역의 주민들이 현재까지 138명이 사망하고 400명이 실종됐다. 북한은 피해 복구에 20만명 이상의 인력을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목용재 기자 (morkka@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목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