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기지국 1~2%로 LTE 1~3%보다 낮아
“IH 전기밥솥, 가열 시간 접근하지 말아야”
5세대 이동통신(5G) 기지국 전자파 세기가 4G 롱텀에볼루션(LTE) 기지국 전자파 세기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8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전자파 측정결과를 발표했다.
생활환경 1394곳에서 전자파 세기는 3.5기가헤르츠(㎓) 대역 5G 기지국이 1~2%(전자파 인체보호기준 대비 전자파 노출량)내외, 4G 기지국은 1~3% 내외로 확인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이 신청한 생활제품과 유아동 시설·대형쇼핑몰 등 생활환경 전자파 노출량을 측정한 결과, 모두 전자파 인체보호기준을 만족했다.
가습기, 식기세척기 등 국민이 신청한 제품 4종, 겨울철에 사용량이 증가하는 전열제품 7종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관심이 높아진 살균기 2종 등 생활제품 13종은 국립전파연구원이, 유아동·노인시설, 대형쇼핑몰 등 생활환경 1394곳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이 전자파를 측정·분석했다.
동일한 지점에서 4G와 5G 기지국 전자파 세기를 동시에 측정한 결과, 5G 기지국이 LTE기지국보다 전자파 세기가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TV방송국과 무선공유기, 공공 와이파이 등 전자파 세기는 인체보호기준 대비 1% 내외로, 생활환경 전반에서 국민에게 노출되는 전자파 세기가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생활제품 13종도 모두 전자파 인체보호기준을 만족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제품 살균기 0.17% ▲공기 살균기 0.18% ▲전자피아노 0.23% ▲식기세척기 0.29% ▲가습기 0.29% ▲온수매트 0.22% ▲전기 라디에이터 0.24% ▲온풍기 0.33% ▲전기방석 0.34% ▲제습기 1.18% ▲전기매트 2.71% ▲헤어드라이어 5.42% ▲IH전기밥솥 1~25% 등으로 나타났다.
IH 전기밥솥 전자파도 가열 시간 이외에는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가열시간에는 전자파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가까이 접근하지 않는 것이 좋다.
생활제품·공간 전자파에 대한 자세한 측정결과는 국립전파연구원 ‘생활속 전자파’ 홈페이지와 KCA ‘전자파 안전정보’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앞으로도 생활 속 전자파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국민이 신청하는 생활 제품과 공간의 전자파를 측정하고 결과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