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출신 및 현업 인사 유력 후보 거론됐다가 동력 상실
금감원장 인사 지연 피로도↑, 하반기 주요 사안 표류 우려
개각 일정이 여전히 안갯속인 가운데 두 달 가까이 공석으로 있는 금융감독원장 인선 절차도 공회전을 하고 있다.
최근 교수 출신과 임기가 끝나가는 현업 출신의 인사들이 유력 후보로 거론됐지만 신임 금감원장에 대한 윤곽은 여전히 뚜렷하지 않다. 청와대의 고심이 큰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금감원장 인사 지연에 대한 피로도 역시 높아지면서 금감원 하반기 주요 사안들도 표류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된다.
23일 금융권 안팎에서는 신임 금감원장 후보군 가운데 현재 원장 직무대리를 맡고 있는 김근익 수석부원장 승진설이 다시 힘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근익 수석부원장은 금감원장 공석기간 동안 원장 대행 업무를 맡으면서 빠른 업무 파악이 가능하다는 점과 금감원을 둘러싼 대내외적 이슈에도 적극 대응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최적의 인물로 거론되고 있다. 또한 문재인 정부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내부 승진이 그나마 불확실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힘을 얻고 있는 모양새다.
김 부원장이 유력 후보로 부상한 또 다른 배경에는 최근 하마평에 오른 후보들이 노조 등의 반대에 부딪혀 동력을 상실하면서다.
앞서 이달 초만해도 하마평에 올랐던 이상복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와 원승연 명지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손상호 전 금융연구원장이 유력 후보로 거론됐지만 노조의 반발에 부딪히며 사실상 좌초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감원 노조에서는 정무 감각이 부족한 교수 출신 원장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내면서 교수 출신에 대한 부정적 기류가 커졌다. 이어 박영석 자본시장연구원장과 김태현 금융위원회 사무처장도 임기 만료를 앞두고 차기 금감원장 후보로 거론됐지만 개각 일정이 미뤄지면서 다시 후보군에서 제외되는 분위기다.
최근 급부상한 박선종 숭실대 법학과 교수는 파생상품 전문가로 잘 알려져있고 금융업권에서 20여년간 경력을 쌓았다는 점에서 기존 교수 출신들과는 차별점으로 꼽혔지만 금감원장 선임 가능성은 다소 낮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금융권 임원 출신이 아니라는 점과 짧은 경력이지만 교수 출신이라는 점이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문 정부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새로운 인물을 앉히기는 부담스러운 상황"이라며 "노조 반대 등 변수가 없는 인물로는 김근익 수석부원장이 가장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업계에서는 이른바 금융검찰로 불리는 금감원장 공백 사태가 장기화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라임과 옵티머스 관련 제재심의위원회 등 금감원의 최대 이슈가 일단락하긴 했지만 사모펀드 사태가 아직 완전히 마무리되지 않았고, 금리인상으로 인한 금융시장 혼란과 가상자산 감독체계와 관련해서 이슈가 발생했을때 지금의 대행 체제로는 적극 대응하는 것이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대외적 이슈 뿐 아니라 내부적으로도 조직 안정 차원에서 수장 공백이 더 길어지면 안된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금감원장 인선이 미뤄지면서 내부적으로도 피로도가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한 업계 전문가는 "금감원장이 확정되면 감독체계 개편방향 아젠다 수립, 금융위완 업무기능 조율, 가상자산 감독 체계 제시, 제제심 및 분조위 개선 등 해야할 과제가 산적해있다"며 "수장 공백이 더 길어지면 업무 효율성은 더욱 떨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