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버 과당경쟁…자극적 소재나 가짜뉴스에 피해 속출
홍보 창구 될 수 있지만 폐업사례로 남기도...부작용↑
외식업계를 중심으로 ‘노 유튜버 선언’이 잇따르고 있다. 누구나 유튜브를 통해 정보를 얻고 콘텐츠를 즐기는 시대지만 일부 유튜버들의 과당경쟁으로 자극적 소재나 가짜뉴스가 남발되면서 자영업자와 일부 시민들이 피해를 보고 있기 때문이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외식업계는 최근 악성리뷰 등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여기에 유튜버까지 더해지면서 골치가 아프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특정 인기 유튜버를 활용하면 금방 유명세를 타고 인기의 중심에 설 순 있지만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대기업이 운영하는 외식업체 보다는 일반 식당을 중심으로 이런 증상이 뚜렷하다. 급기야 지난해 말에는 ‘유튜버의 허위사실 방송으로 자영업자가 피해를 보지 않도록 법과 제도를 만들어주세요’라는 제목의 청원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노 유튜버’를 외치는 이들에게는 특별한 이유가 있다. 촬영으로 다른 손님들과 마찰을 일으키는 데다, 유명세를 이용해 무료 식사나 서비스를 요구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어서다. 특히 유튜버의 주관적 평가가 식당의 이미지를 좌우하는 것도 문제라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실제로 과거 한 유튜버의 경우 조회 수를 노리고 간장게장안에서 ‘밥알’이 나왔다는 허위 폭로를 해 해당 점포가 폐업하기도 했다. 또한 한 유튜버는 주문한 피자와 치킨을 배달원이 먹었다는 허위 영상을 올렸다가 소송을 당한 바 있기도 하다.
미디어 노출이 부족했던 외식업계 입장에서 유튜브는 매력적인 홍보창구가 될 수 있다. 이용자들 역시 숨은 맛집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위 사례처럼 대중의 호기심을 앞세워 사실관계를 확인하지 않은 논란이 발생하는 일이 잦아지면서 등을 돌리는 이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시 종로구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김모씨는 “유튜버라고 와서 시끄럽게 떠들고 이곳저곳 들쑤시는 게 싫다”며 “호기심에 한 번 찾는 손님을 위한 것이 아닌, 우리 음식에 정말 만족을 해서 지속적으로 찾는 손님을 위해 정성을 쏟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처음엔 가게를 알리고 홍보를 할 수 있다는 짧은 생각에 반겼는데, 오히려 식사를 하는 손님들이 불편해 한다는 것을 알았다”며 “조용히 식사를 즐기러 오는 손님들을 위해 이제는 일체 홍보를 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그렇다면 왜 이런 현상이 지속 되는 것일까. 일부 유튜버들의 일탈은 과당경쟁과 소재고갈이 근본 원인이다. 조회 수와 광고 수입에 대한 압박 때문에 억지로 콘텐츠를 만들고 더욱 자극적인 소재를 찾는 것이다.
유튜브 영상 콘텐츠 조회수는 유튜버에게 곧 돈이다. 조회수에 따라 수익도 늘어나는 구조라서 유튜버들은 경쟁하듯 자극적 콘텐츠 생산에 매달리고 있다. 유튜버에겐 수익을 내기 위한 최소한의 기준이 있다. 구독자 1000명 이상, 연간 재생 시간 4000시간 이상 등이다.
이를 충족하면 콘텐츠에 광고가 붙어 유튜버는 수익을 얻게 된다. 유튜버들은 영상 직전에 나오는 광고로 돈을 버는데, 광고 방식에 따라 또 조회 수에 따라 수익도 달라진다. 구독자, 좋아요가 많은 유튜버가 올린 영상도 수익을 더 올릴 수 있는 셈이다.
그럼에도 유튜버 등 SNS 인플루언서들의 일부 갑질 횡포에 대한 해결책은 마땅치 않은 현실이다. 인플루언서는 개인 개정으로 활동하는 일종의 프리랜서 형태로, 게시물을 올리고 활동하는데 있어서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이상 아무런 규제도 받지 않기 때문이다.
인플루언서가 계약한 소속사가 있다고 해도 소속사는 각 인플루언서의 대외 행사 스케줄만 관리할 뿐 인플루언서의 게시물을 관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시장에서는 문제가 될 만한 인플루언서를 아예 사업장 안으로 들이지 않는 것이 유일한 사건 예방책으로 여겨진다.
외식업계 관계자는 “이제는 유튜브가 MZ세대의 중요한 메인 채널이 됐고, 그곳의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유튜버들의 입김을 무시할 수 없는 현실이 됐다”며 “신메뉴가 나오면 유튜버를 통해 한 번 먹어보도록 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 홍보 효과가 커서 진행하지만 말 한마디 등 부작용 역시 만만치 않아, 유튜버를 활용한 마케팅은 ‘양날의 검’과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