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중천 보고서 허위 작성·유출' 의혹 개입 혐의…20일 자택·청와대 사무실 압색
공수처 수사3부, 김학의 수사 자체 외압의혹 수사중 …이광철 개입 여부 초미의 관심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이광철 전 청와대 민정비서관에 대한 소환조사가 임박한 것으로 보인다.
1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규원 검사의 '윤중천 면담보고서 허위 작성·유출' 의혹을 수사 중인 공수처 수사3부(최석규 부장검사)는 이 전 비서관의 사의가 수용됨에 따라 조만간 이 비서관을 소환 조사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공수처는 이 전 비서관이 김학의 전 차관 별장 성접대 의혹의 핵심 인물인 윤씨와 만난 내용을 담은 면담보고서를 이 검사가 허위로 작성하고 이를 언론에 유출하는 과정에 이 전 비서관이 개입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공수처는 이 사건과 관련해 이 검사만 입건해 수사를 진행하다가, 지난달 20일 이 전 비서관 자택과 청와대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공수처는 압수수색 당시 이 전 비서관의 입건 여부를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그를 이 사건의 '주요 사건관계인'으로 지칭하며 수사 확대를 공식화했다.
특히, 공수처 수사3부는 면담보고서뿐 아니라 김 전 차관 불법 출국금지 수사 자체에 대한 외압 의혹도 수사 중이어서 소환 시 이 전 비서관의 개입 여부도 조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언론에 공개된 이성윤 서울고검장 공소장에 따르면, 김 전 차관 불법 출금 수사 중단 과정에서 이 전 비서관→조국 전 법무부 장관→윤대진 전 검찰국장→이현철 전 수원지검 안양지청장 순으로 연락이 이뤄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공수처가 이 전 비서관의 개입 정황을 확인한다면 수사가 청와대 윗선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앞서 청와대 민정라인의 실세로 평가받아온 이 전 비서관은 김 전 차관 불법 출금 과정 전반을 주도한 혐의(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수원지검에 수사팀으로부터 기소되면서 사의를 표명했고, 30일 수용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