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군의 귀환은 위기극복의 희망”
문재인 대통령은 18일 “홍범도 장군은 우리 민족 모두의 영웅이며, 자부심”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홍범도 장군 유해 안장식 추모사에서 “정부는 카자흐스탄에 있는 장군의 묘역 관리 등 고려인 사회의 자부심이 변함없이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광복절 카자흐스탄에서 봉환된 홍범도 장군의 유해는 이날 오전 10시 30분 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제3묘역에 안장됐다. 홍범도 장군이 별세한 지 78년 만이다.
문 대통령은 광복절인 지난 15일 저녁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 나가 카자흐스탄에서 돌아온 홍범도 장군의 유해를 직접 맞이한 데 이어 이날 유해 안장식에 참석해 고인에 대한 최고의 예우를 표했다.
문 대통령은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을 이끌었던 독립전쟁의 영웅, 대한독립군 총사령관 홍범도 장군이 오늘 마침내 고국산천에 몸을 누이신다”며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 101주년, 장군이 이역만리에서 세상을 떠나신 지 78년, 참으로 긴 세월이 걸렸다”고 했다.
이어 “장군의 귀환은 어려운 시기, 서로를 믿고 의지하며 위기극복에 함께하고 있는 대한민국 모든 국민들에게 큰 희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추념사를 읽어 가던 중 울먹이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조국을 떠나 만주로, 연해주로, 중앙아시아까지 흘러가야 했던 장군을 비롯한 고려인 동포들의 고난의 삶 속에는 근현대사에서 우리 민족이 겪어야 했던 온갖 역경이 고스란히 배어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시는 그런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절치부심해야 한다. 선조들의 고난을 되돌아보며 보란 듯이 잘사는 나라, 누구도 넘보지 못하는 강한 나라, 국제사회에서 존중받는 나라를 반드시 만들어야 한다”며 목소리를 떨었다.
문 대통령은 “그러기 위해선 우리 스스로 우리를 존중해야 한다”며 “우리의 독립운동사를 제대로 밝히고, 독립유공자들과 후손들을 제대로 예우하는 것이 그 시작일 것이다. 아직도 조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애국지사들이 많고,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독립운동가들이 많으며, 가려진 독립운동의 역사가 많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문 대통령은 열 권 분량의 ‘홍범도’ 대하 서사시를 완결한 바 있는 이동순 시인의 표현을 인용했다.
“나 홍범도, 고국 강토에 돌아왔네. 저 멀리 바람 찬 중앙아시아 빈 들에 잠든 지 78년 만일세. 내 고국 땅에 두 무릎 꿇고 구부려 흙냄새 맡아보네. 가만히 입술도 대어보네, 고향 흙에 뜨거운 눈물 뚝뚝 떨어지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