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SKT, 수중기지국 기반 통신망 구축 시범 연구 진행


입력 2021.08.26 08:39 수정 2021.08.26 08:41        김은경 기자 (ek@dailian.co.kr)

호서대·한국원자력연구원과 협력

환경 센서 연결한 수중통신망 활용

실시간 해수 오염 등 해양 상황 탐지

SK텔레콤이 26일 호서대학교,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함께 수중 기지국 기반 통신망에 해양 오염 탐지 센서를 연결해 바닷속 오염을 실시간 감시하는 시범 연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SK텔레콤 직원들이 수중데이터관리플랫폼에서 오염탐지 연구를 진행 중인 모습.ⓒSK텔레콤

SK텔레콤은 호서대학교,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함께 수중 기지국 기반 통신망에 해양 오염 탐지 센서를 연결해 바닷속 오염을 실시간 감시하는 시범 연구를 진행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지난 23일부터 27일까지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대교 약 4km 전면 해역의 수심 약 30m 지점에서 관련 장비를 설치하고 테스트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광안대교 인근 수중에 설치된 기지국과 해양 오염 탐지 센서를 탑재한 수중 센서 노드는 해양 오염을 10분 단위로 측정해 센서에서 수중 기지국을 거쳐 해상 부이까지 음파 통신으로 전달한다.


해상 부이에는 수중통신모뎀과 함께 해상에서의 통신을 위해 개발된 ‘다중 육상통신망 스위칭 시스템’이 탑재돼 최적의 통신망을 선택해 육지의 ‘수중 데이터 관리 플랫폼’으로 측정 수치를 전송한다.


관리 플랫폼은 단순 측정 수치의 전달 외에도 수중 센서와 수중 기지국, 기지국 컨트롤러의 위치와 구성, 수중 기지국 컨트롤러의 통신상태, 인근 해상 롱텀에볼루션(LTE) 커버리지, 수온, 염도 등 다양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관리한다.


이번 연구는 수중기지국 기반 수중통신망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해 호서대학교가 주관을 맡아 SK텔레콤·한국원자력연구원·전자기술연구원·경북대·중앙대·인하대·상명대·한양대·국민대 등이 2015년부터 공동으로 진행 중이다.


SK텔레콤은 이번 연구가 잦은 통신 단절이 발생하는 수중 음파통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수중에서도 육지와 마찬가지로 관측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할 수 있어 대한민국 수중사물인터넷(IoUT·Internet of Underwater Things) 시대의 핵심 인프라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해양 오염 조기 경보 등 각종 해양 재해 및 환경 감시 ▲수중 로봇간 통신 ▲해양플랜트 관리 ▲쓰나미·해저 지진 등 재난 대응 ▲어족자원·해양 생태계 모니터링 ▲수중 항만 방어 체계 구축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윤형식 SK텔레콤 인프라 운용그룹장은 “회사가 보유한 첨단 통신기술로 대한민국의 바다를 안전하게 지키는데 기여할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민관학이 함께 이뤄낸 이번 성과를 시작으로 수중사물인터넷 시대를 선도하고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사회문제 해결 등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에도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김은경 기자 (e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김은경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