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면접교섭 통해 자녀에게 양육비 줄 사람이라면 평소에도 보러 오고 벌써 줬을 것"
결국 "강제성 필요하다" 공감…양육비 대지급제도 도입 목소리 크지만 신중론도 대두
전문가들은 면접교섭 서비스은 양육비 지급의 고육지책에 불과한 측면이 있다면서, 비양육자의 자발적인 마음에만 기대고 의탁해야하는 현실을 비판했다. 또 자녀의 올바른 성장을 위해서라도 비양육자에 대한 강제성을 부여해야 한다면서, 특히 정부에서 아예 먼저 양육비를 지급하고 비양육자의 소득에서 원천징수하는 양육비 대지급제도 도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익중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양육자든 비양육자든 자녀와의 교섭은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교섭과 양육비는 동시에 해결해 나아가야 하는 문제"라면서 "비양육자가 면접교섭 서비스를 이행하지 않으면 양육비를 올리는 등 불이익을 줘 강제성을 띠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양육비이행 관리원의 힘을 강화하고 그들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체계적이고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있도록 해야 하는데 현재 우리나라 이혼 가정 수에 비해 관리원의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양육비는 국가에서 먼저 지원하고 나중에 구상권을 행사하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교섭은 아동복지 측면에서 중요하기 때문에 양육비 이행보다는 면접교섭 이행을 위한 서비스에 우선 초점을 맞추는 것도 생각해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손민희 양육비해결총연합회 부대표는 "현재 양육자가 면접교섭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비양육자는 이행명령을 신청할 수 있고 과태료도 1000만원이지만, 반대로 비양육자가 면접 교섭을 이행하지 않았을 때 양육자가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이런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패널티를 마련하는 등 강제성을 부여해 자녀를 위한 면접교섭 이행이 제대로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부모가족을 가까이서 지켜보는 한 지역아동센터 관계자도 "면접교섭 서비스만을 통한 자녀와의 감정 교류로 양육비를 줄 사람이었다면 평소에도 먼저 보러 왔을 것이고 양육비도 자발적으로 줬을 가능성이 크다"며 "강제성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비양육자가 신청한 면접교섭 서비스를 이행하지 않으면 패널티를 주거나 반대로 인센티브를 주는 것도 방법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각계에서 양육비 대지급제도 도입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크다. 양육비 대지급제도는 정부가 양육비를 선지급하고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는 비양육자의 소득에서 양육비를 원천징수하는 것으로 이미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주요 선진국에서 도입해 운영 중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양육비 대지급제도를 도입하고 있진 않지만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는 비양육자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지난 7월 '양육비 이행확보 및 지원에 관한 법률'(양육비 이행법)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되면서 정부는 법원의 감치명령을 받고도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은 채무자의 이름, 나이, 직업, 주소를 인터넷과 언론 등에 공개할 수 있게 됐다. 또 양육비 채무자의 운전면허를 정지하고 출국금지 조치를 할 수 있다.
양육비 대지급제도 도입이 더딘 이유는 신중론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손 부대표는 "대지급제도가 필요한 가정도 물론 있지만,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인지 많은 논의와 연구가 선행돼야 한다"며 "지금은 감치 판결까지 1년 반에서 2년 정도 걸리는 절차를 간소화하거나 양육비 채무 5000만원의 금액을 하향 조정하는 등 개정안 보완을 통해 양육비 지급이 최대한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할 때"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