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원자재 값 상승 따른 기업채산성 영향 분석
연간기업수익성 1.8%p감소…물가는1.6%p 상승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 여파로 기업의 채산성과 거시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크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환율안정, 국제 원자재 수급 안정 지원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국제원자재가 급등이 기업채산성 등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분석 결과 원자재값 상승으로 올해 1~9월 기준 기업의 영업이익률이 1.8%p 감소했다고 1일 밝혔다. 반면 소비자 물가는 1.6%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원자재 가격이 국제원유를 중심으로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국제원유가격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작년 4월에 저점을 찍은 후 상승폭이 유종별로 3.6배(두바이유)에서 최대 5.0배(WTI)에 달한다.
WTI는 작년 4월 배럴당 15.06달러에서금년 9월에는 배럴당 75.03달러로, 두바이유는 20.82달러에서 75.90달러로, 브렌트유는 20.66달러에서 78.77달러로 치솟았다.
금을 제외한 알루미늄 등 비철금속가격과 옥수수 등 주요곡물 선물가격도 가파른 상승세이다. 한경연은 국제원자재가격이 급등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백신효과와 그간 경기침체에 따른 기저효과로 글로벌 경기가 큰 폭의 반등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봤다. 실제 정점에서의 국제원자재 가격상승률이 올해 3분기 60.8%로 과거 외환위기(‘00.1분기 57.8%)와 금융위기(‘10.1분기 39.8%)기보다 높았다.
한경연은 국제원자재 가격의 증감률 고저점간 격차도 금번 코로나19 시기에서 가장 커 기업의 대응이 많이 어려울 것으로 추정했다.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증감률 저점은 작년 2분기 –34.5%, 현재까지의 고점은 금년 3분기 60.8%로 고·저점 차이가 95.3%p에 달했다.
반면 금융위기 기간(2008년 4분기~2010년 2분기)의 경우 2009년 2분기 –43.0%이 저점, 2010년 1분기 39.8%가 고점으로 고·저점 차이가 82.8%p였다. 외환위기 기간(1997년 4분기~2000년 1분기)에는 1998년 1분기 –24.3%가 저점, 2000년 1분기 57.8%가 고점으로 고·저점차이가 82.1%p였다.
올해 1∽9월 중의 원화기준 원재료수입물가 상승률은 전년동기 대비 32.3%에 달한다. 한경연은 기업들이 원재료수입물가 상승분의 절반을 제품판매 가격에 반영하고, 나머지 절반은 자체 흡수한다는 가정아래 국제원자재가 상승이 기업채산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비금융업 전체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율은 코로나19 이전인 5년(2015년~2019년)간 평균 5.2%였는데,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영업이익률이 3.4%로 이전보다 연간 1.8%p 하락할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 매출액 영업이익율 하락 폭은 대기업이 2.0%p, 중소기업이 1.5%p로 대기업이 더 컸다. 한경연은 국제원자재 가격 인상의 영향을 대기업이 더 많이 받는 것은 매출액대비 재료비 비중이 대기업이 더 높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정부가 기업들의 제품가격을 규제할 경우 기업채산성 악화로 인한 영업잉여의 감소 등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것”이라며 “가격규제 등 인위적 물가억제책 대신 가격급등 원자재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 등 국제원자재의 안정적 수급 지원을 통해 경제악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