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방역당국 "코로나 재유행 8월 중 정점 올 것…15만명 예상"


입력 2022.08.04 16:34 수정 2022.08.04 17:47        김하나 기자 (hanakim@dailian.co.kr)

백경란 "예상보다 정점 낮지만 유행 다소 길게 지속될 수도"

"오미크론 치명률 0.04%…독감 수준으로 낮아진 건 아냐"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이 2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 브리핑실에서 코로나19 대응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방역당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유행의 정점 예측을 15만명 수준으로 낮춰 잡았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4일 브리핑에서 "여러 수학분석그룹에 따르면 8월 중 정점이 올 것이라는 의견이 다수"라며 정점시 하루 신규 확진자 수와 관련해 "11만~19만, 중앙값 정도로 본다고 하면 한 15만 정도"라고 밝혔다.


이 단장은 "다만 정체기가 봄에 감소했었던 수준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발언은 기존 방역당국의 예측치인 하루 신규 확진자 수 최대 30만명보다는 낮아진 것이다.


백경란 질병청장도 이날 브리핑에서 "6월, 7월에 향후 전망에 대해 '최대 하루 25만 명 이상 발생할 수 있다'고 여러 번 말한 바 있다"며 "다행히 최근 환자 발생이 다소 꺾이면서 예상보다 낮은 수준인 20만 명 이내 수준의 환자 발생이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이 2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 브리핑실에서 코로나19 대응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질병청에 따르면 감염재생산지수(Rt)는 지난달 31일~지난 3일 1.13으로, 7월 4주(7월 24∼30일)의 1.29에서 하락했다. 감염재생산지수는 환자 1명이 주변 사람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를 수치화한 지표로, 1 이상이면 유행이 확산하고 1 미만이면 유행이 억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백 청장은 "예상보다 정점이 낮지만 유행이 다소 길게 지속될 수는 있다"며 "시간이 지나면서 면역 수준이 감소하는 인구가 더 증가할 것이고 새로운 변이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휴가철 사회적 접촉 증가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백 청장은 "과거 유행했던 델타에 비해 오미크론 변이의 위중증도가 낮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중증도가 인플루엔자(독감) 수준으로 낮아진 것은 아니다"라며 "한국의 인플루엔자 치명률은 0.016%인데, 오미크론 치명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인구 5000만명 이상 국가 중 가장 낮지만 0.04%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김하나 기자 (hanaki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김하나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