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여력·거래회전율 등 '신규 통계' 개발…"대국민 공개도 검토"
6년의 연구개발 내용 '실용화' 단계…"정책 의사결정 지원 목적"
한국부동산원이 공급여력 및 거래회전율 등 새로운 통계를 생산하기로 했다. 또 단지별 매매·전세가격 예측 방안과 위기진단모형을 통한 전문가들의 예측 등 시장 분석 방식도 다각화한다. 정책 혹은 변수에 따른 시장 변화를 정확히 전망하기 위해서다.
8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부동산원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주택시장 분석 및 예측모형 개발'이라는 내용의 연구개발(R&D) 사업을 통해 이 같은 지표 등을 개발했다.
이 과제는 지난 2016년8월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KAIA)이 발주했으며, 한국감정원(現 부동산원)과 국토연구원, 주택산업연구원 등의 기관이 공동으로 연구단을 구성해 진행했고 올해 종료됐다. 초점은 다양한 통계와 분석적 기능을 통해 부동산 시장에 대한 예측성을 높이는데 맞춰졌다.
부동산원은 개발된 기능을 좀 더 고도화 해 실용화하기로 했다. 우선 공급여력과 거래회전율 등 새롭게 개발한 지표들을 시각화하는 방안을 찾는다. 해당 지표가 완성이 되면 국토부와 협의를 거쳐 일반에 공개할 계획도 가지고 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연구개발 때 생산을 해봤는데 효용이 있어 보여 제대로 된 생산을 해보자는 결정이 났다"며 "현재 정부도 대국민 개방을 기조로 잡고 있는 만큼 국토부와 협의를 거쳐 일반에 공개할 생각도 있다"고 말했다.
시장 분석방식도 다각화한다. 위기진단모형 주요 변수를 지수화해 위기진단 지수를 파악하기로 했다. 주요 변수는 가격지수와 거래량 등을 말한다. 향후 이 정량적 지수들을 통계화 해 전문가들이 시장의 동향을 파악하는데 활용한다. 현재 국토연구원에서 쓰이는 방식으로, 부동산원도 이를 차용해 시장 예측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아파트 단지별 특성, 입지, 공간특성 등 종합적 매매·전세가격을 예측하는 방식도 도입한다. 기존에는 전국 및 지역별 평균으로 예측했다면 이젠 세부지역 혹은 단지별로 가격 향방을 들여다보겠다는 것이다. 다만 아직까지 정책에 활용할 정도는 아닌 만큼 실용화까지는 상당기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게 부동산원의 설명이다.
이 밖에 주요 정책별 파급효과(DTI, LTV 등 변동시 거시 지표 측정)를 분석해 거시지표 변동 예측, 정책 전후 시장분석에 활용하기로 했다. 또 부동산세제, 대출규제, 공급조절 등 주요 부동산 정책 파급효과에 따른 정책의 객관적 평가와 정책 실효성 향상 방안도 검토한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연구개발을 통해 추진했던 내용들을 실용화하는 단계"라며 "부동산 시장이 상승 및 하락국면이 있는데 이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정책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