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현모 KT 대표 '사실상 연임'...국민연금 마지막 걸림돌
증권가 "사업 방향 연속성 유지 긍정 요인...가치 늘어날 것"
구현모 KT 대표가 차기 최고경영장(CEO) 단독 후보로 오르자 증권가에서는 KT 향후 3년에 대한 기대감이 흘러나오고 있다. 구 대표가 지난 3년 간 유의미한 성과를 거둔 디지코(DIGICO·디지털플랫폼기업) 전략이 지속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KT 이사회는 전날 구현모 현 대표를 차기 주주총회에 추천할 최종 후보로 결정했다. 단일 최대 주주인 국민연금(10.35%)의 반대라는 걸림돌이 있지만, 큰 이변이 없는 한 내년 3월 열릴 정기 주주총회에서 최종 선임될 전망이다. 만약 최종 승인을 받을 경우 구 대표는 오는 2026년 3월까지 3년간 KT를 더 이끌게 된다.
구현모 대표가 KT 이사회로부터 신임을 받게된 배경은 그간 거둔 경영 성적이다. 구 대표는 지난 2020년 KT 대표직에 오른 이후 인공지능(AI)·빅데이터(Big Data)·클라우드(Cloud) 등 이른바 ‘ABC’ 역량을 기반으로한 디지털전환(DX)와 기업간거래(B2B) 등 비 통신 분야에 집중했다.
그 결과 취임 전(2019년) 1조1595억원 수준이던 영업이익은 2020년 1조1841억원, 2021년 1조6718억원으로 매년 성장했다. 올해 역시 에프엔가이드 기준 1조7760억원의 영업이익이 예상되고 있다. 실적 상승에 시가총액도 불어났다. 취임 전 약 6조9000억원 수준이던 시가총액을 3년여 만에 10조원대로 끌어올리기도 했다.
시장에서도 구현모 대표 연임을 반기는 모습이다. CEO가 바뀔 경우 기존 사업에 대한 연속성이 줄어들 수 있고 새로운 CEO 스타일에 맞는 신규 사업이 추진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안재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회사의 경영 연속성 측면에서 CEO를 교체하는 게 더 리스크가 있다 판단한다"면서 "이번 이사회 결정을 오히려 긍정적인 이벤트로 보고 있고 지난 3년 동안 구현모 대표가 잘했던 부분이 있기 때문에 기업 가치에는 플러스 요인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회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지난 3년 동안에 KT 실적도 좋았고, 그 실적으로 주가가 반응을 했다"면서 "주주총회에서 최종 통과가 될 경우 향후 3년간도 유사한 성과를 보이지 않을까 추측하고 있다"고 전망했다.
구 대표의 공격적인 배당정책도 투자자들의 기대요인으로 꼽힌다. 2019년 1100원을 배당한 KT는 구 대표 취임 후 2020년 1350원, 2021년 1910원을 배당하는 등 금액을 꾸준히 늘었다. 현재는 별도 조정 당기순이익의 50%를 배당하는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김회재 연구원은 "주가 상승이 향후 3년에도 기대할 수 있는 요인이라 생각된다"면서 "특히 주주들이 기대할 수 있는 점은 배당"이라 설명했다.
다만 구 대표의 연임 과정은 그리 순탄하지는 않을 전망이다. KT 최대 단일 주주인 국민연금이 줄곧 연임에 반대 의사를 표시하기 때문이다. 서원주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기금이사·CIO)은 지난 27일 기자간담회에서 "KT 등 소유 분산 기업들이 CEO 선임을 객관적·합리적이고 투명한 기준에 따라 해야 불공정 경쟁이나 '셀프연임', '황제연임' 우려가 해소되고 주주가치에 부합한다"면서 "이사회 내부에서 기회를 차별하거나 외부인 참여를 제한하면 주주들은 잠재 후보를 모른 채 한사람에 대한 선택을 강요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역시 같은 문제를 언급한 바 있다.
이같은 지적에 대해 구 대표는 이날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열린 '제1회 양자기술 최고위 전략대화'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경쟁을 하겠다'라는게 저의 기본적인 생각"이라며 "지금도 그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면서 "국민연금 얘기는 어제 저녁에 늦게 나와서 좀 더 무슨 내용인지 파악도 해보고 또 고민을 좀 해보도록 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한편, 국민 연금(10.35%)이 주주총회에서 반대표를 던지더라도 현대자동차그룹(7.79%)과 신한은행(5.58%)이 찬성표를 던질 경우 연임에 성공할 수 있다. 이 두 기업의 KT 지분율은 국민연금보다 앞선 13.37%다. 나머지 KT 지분은 국내 기관과 개인, 외국인 등이 40%이상을 보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