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래경 민주당 혁신위원장 내정자, '친명 성향' 논란
과거 '이재명 지키기 범국민 대책위' 제안 전력도
쇄신으로 돈봉투·코인 논란 위기 극복 가능할까
더불어민주당이 5일 혁신기구를 '전권 위임' 방식으로 구성키로 하고, 위원장에 외부 인사인 이래경 다른백년 명예이사장을 선임했다. 이래경 신임 위원장은 '2021년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과 김남국 의원의 '코인 논란' 등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당 쇄신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다만 이래경 위원장이 수차례 친명(친이재명) 성향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논란이 예상된다.
이재명 대표는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래경 이사장을 혁신위원장으로 선임한다고 발표했다.
당 지도부는 지난달 14일 의원총회에서 혁신기구 구성 방침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친명계와 비명(비이재명)계가 위원장 인선과 기구의 역할·권한 등과 관련해 이견을 보여 보름 넘게 진척이 없었다. 친명계는 "임명된 권력이 선출된 권력을 대신할 수는 없다"고 주장해 온 반면, 비명계는 혁신기구에 전권을 줘야 한다며 맞섰다.
혁신기구 권한과 관련해 이재명 대표는 "혁신기구의 명칭과 역할 전부 혁신기구에 맡기겠다. 지도부는 권한을 존중하고 맡길 것"이라며 혁신과 관련해 전권을 위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서영교 최고위원도 이날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혁신과 관련한 내용들에 대해 일정 부분 전권을 가지고 움직여 나갈 수 있게 하자는 것"이라며 "이것이 최고위원회가 가지고 있는 전권 위임 이런 차원의 연결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서 최고위원은 "국민을 위해서 어떤 일을 해야 되고, 국민이 민주당이라고 하는 정당에 어떤 것을 바라고, 정치적으로 한 단계 발전시키기 위해서 대한민국 국민을 위해서 어떤 혁신이 민주당에 필요하냐 이런 부분에 있어서 전권에 관한 내용들이 나온 것"이라고 부연했다.
당 지도부의 이같은 결정은 비명계의 목소리를 일정 부분 수용한 것으로 해석됐었다. 그런데 이날 선임된 이래경 위원장은 친명 성향으로 분류된다. 옛 김근태계로 분류됐었지만, 이재명 대표에 대한 지지 입장을 여러 차례 밝힌 적이 있는 인물이다.
이래경 위원장은 2019년 당시 경기지사이던 이재명 대표가 허위사실 공표 혐의에 대한 2심에서 당선무효형을 선고받자, 시민사회 운동가들과 함께 '경기도지사 이재명 지키기 범국민 대책위원회' 구성을 제안했다. 대선을 앞둔 지난해 2월에는 민주당 당사에서 재야 사회운동과들과 함께 이 대표에 대한 지지 선언을 했다.
따라서 총선 공천 룰의 윤곽이 잡힌 상태에서 혁신 전권을 부여받은 혁신기구가 어떤 범위까지 논의할 것인지를 두고 오히려 계파 간 신경전이 가열되지 않겠느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당내 대표적인 비명계 인사인 이상민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민주당 혁신위 두겠다는 건 이재명 대표체제의 결함과 한계를 극복하겠다는 것인데, 그렇다면 민심에 터 잡아 냉철하게 객관적이고 단단하게 중심을 잡고 해 나갈 수 있는 강인한 인물이어야 하지 않겠느냐"고 비판했다.
이상민 의원은 이어 "그런데 혁신위원장에 선정된 것으로 알려진 이래경이란 분 당내 논의도 전혀 안되었고 전혀 검증도 안되었으며 오히려 이재명 대표 쪽에 기울어 있는 분이라니 더 이상 기대할 것도 없겠다"라며 "황당무계하고 참 걱정된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