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WWDC서 '비전프로'공개..."착용형 공간 컴퓨터"
신규 비전OS 탑재...눈·손·음성 등으로 조작
애플이 수년 간 개발한 첫 혼합현실(MR) 기기 '애플 비전 프로(Apple Vision Pro)'를 공개했다. 이들은 VR(가상현실)·AR(증강현실) 헤드셋이라는 이름 대신 '착용형 공간 컴퓨터'라는 새로운 이름을 내며 "아이폰 이후 완전히 새로운 플랫폼의 시작"이라 강조했다.
애플은 5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애플 파크에서 세계 개발자 컨퍼런스(WWDC 2023)를 열고 사용자가 현실 세계 및 주변 사람들과의 연결성을 유지하도록 지원하면서 디지털 콘텐츠와 물리적인 세계를 매끄럽게 어우러지게 하는 공간 컴퓨터 '애플 비전 프로'를 발표했다.
MR 헤드셋은 2014년 처음 공개된 애플워치 이후 애플이 9년 만에 내놓은 야심작이다. 약 1000명이 넘는 개발자들이 7년 넘게 개발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팀 쿡 최고경영자(CEO)는 "컴퓨팅 방식에 있어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날이다”라며 “맥이 개인 컴퓨터를 그리고 아이폰이 모바일 컴퓨팅의 시대를 열었던 것처럼 애플 비전 프로는 우리에게 공간 컴퓨팅을 선보이게 됐다"라고 했다.
이어 "수십 년 간의 애플 혁신에 기반을 둔 비전 프로는 수년간 앞선 완전히 새로운 혁명적인 입력 시스템과 수천 개 이상의 획기적인 기술 혁신을 선보이며 이는 예전에 보아왔던 그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다"면서 "비전 프로는 사용자들에겐 엄청난 경험, 개발자들에겐 신나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비전 프로의 외형은 스키 고글 형태를 하고 있다. 해당 모델은 새로운 운영체제 비전OS에 이용자가 눈과 손, 음성을 통해 기기를 조작할 수 있게 돼 있다. 자동으로 실행되는 수십만 개의 기존 아이폰 및 아이패드 앱에 접속할 수 있으며, 디지털 콘텐츠와 물리적인 세계를 경계 없이 어우러지게 한다.
가령 비전 프로를 쓰고 페이스타임 통화를 하면 이용자의 모습이 실물 크기의 디지털로 재현되며, 이용자의 표정과 손짓은 실시간으로 반영된다. 이용자들은 같이 영화를 감상하고, 사진을 둘러보거나 프레젠테이션 작업을 위해 협업할 수 있다.
영화를 볼 경우 화면을 100피트(30m)만큼 넓게 확장해 첨단 공간 음향 시스템을 갖춘 개인 영화관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아이클라우드(iCloud)에서 사진 보관함에 접속하면 사진과 영상을 미세한 디테일까지 보여주며 선명한 색상의 실물 크기로 체험할 수 있다.
애플은 자체 개발한 새로운 R1 칩으로 12개의 카메라와 5개의 센서, 6개의 마이크가 입력한 정보를 처리해 콘텐츠가 이용자의 눈앞에서 실시간으로 보이는 것처럼 느껴지도록 한다고 설명했다.
비전 프로는 내년 초부터 미국에서 3499달러(약 456만원)에 판매되며 이후 다른 나라로 확장될 예정이다. 외장형 배터리를 사용하면 최대 2시간 지속된다.
업계에서는 애플의 MR헤드셋의 출시가 메타버스 시장 확대로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MR 헤드셋이 그동안 부재했던 메타버스 킬러 콘텐츠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애플 소프트웨어·하드웨어의 결합이 생태계 확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한다.
로이터 통신은 “애플이 메타의 XR 헤드셋보다 3배 비싼 비전 프로를 통해 메타가 주도하는 메타버스 파티에 뛰어들었다”라며 “비전 프로는 아이폰 이후 가장 위험하고 도전적인 제품으로 생태계 확장 여부가 성패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