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尹, 엑스포 두고 파리서 빈 살만과 '정면 승부'…베트남은 국빈 방문


입력 2023.06.19 06:00 수정 2023.06.19 06:00        송오미 기자 (sfironman1@dailian.co.kr)

19~24일 4박 6일 일정 프랑스·베트남 순방

20일 파리 BIE 총회 4차 경쟁 PT서 영어로 연설

엘리제궁서 마크롱과 오찬 겸한 정상회담도 진행

22~24일 베트남 국빈 방문…역대급 경제사절단 동행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가유공자 및 보훈가족 초청 오찬에서 참석자들을 기다리고 있다. ⓒ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이 19일부터 부인 김건희 여사와 함께 4박 6일 일정으로 프랑스·베트남 순방길에 오른다.


윤 대통령은 19일 프랑스로 출국해 20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제172차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에 참석해 2030 세계박람회(엑스포) 부산 유치를 위한 4차 경쟁 프레젠테이션(PT)에 '마지막 연사'로 나선다.


대통령실은 18일 "윤 대통령은 20일 BIE 총회에서 실시될 2030 세계박람회 경쟁 PT에 마지막 연사로 직접 참여하여 영어로 PT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대한민국의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 의지를 강력하게 표명해 회원국의 열띤 호응과 지지를 끌어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에 앞서 '강남스타일'을 부른 가수 싸이, 학계, 스타트업 대표 등 각계각층 연사들이 현장 발표를 통해 힘을 실을 예정이다. 성악가 조수미 씨와 걸그룹 에스파 멤버 카리나 등은 영상으로 등장한다.


사우디아라비아(리야드)와 이탈리아(로마), 우크라이나(오데사)가 부산과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우크라이나를 제외한 나머지 두 국가도 이날 PT를 진행한다.


윤 대통령은 21일에는 한국 주최 공식 리셉션 등에 참석해 각국 대표단과 외교단을 대상으로 유치 활동을 전개한다. 이날 일정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최태원 SK 회장, 구광모 LG 회장 등 4대 그룹 총수도 함께한다.


오는 11월 말 최종 경쟁 PT(5차)를 마친 직후 179개 BIE 회원국 투표로 엑스포 개최국이 결정되는 만큼, 이번 4차 경쟁 PT는 유치전의 마지막 분수령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윤 대통령의 PT 참석 일정이 알려진 뒤 한국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도 일찌감치 파리를 찾아 유치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16일 엘리제궁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만난 빈 살만 왕세자는 19일 리야드의 2030 엑스포 유치를 위한 리셉션에 참석하고, 23일까지 프랑스에 머물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PT 행사나 공식 리셉션 등에서 윤 대통령과 빈 살만 왕세자가 7개월 만에 조우할지도 주목된다. 빈 살만 왕세자는 지난해 11월 한국을 방문해 윤 대통령과 정상 회담한 바 있다.


윤 대통령은 또 이날 엘리제궁에서 마크롱 대통령과 오찬을 겸한 정상회담도 진행한다.


윤 대통령은 프랑스 방문 기간 동안 동포 간담회, 한·불 미래 혁신 세대와의 만남, 디지털 비전 포럼, 유럽 지역 기업 투자 신고식 참석 등의 일정도 소화할 예정이다.


윤 대통령은 이어 22일부터 24일까지 한국의 3대 교역국인 베트남을 국빈 방문해 경제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한다.


윤 대통령의 이번 베트남 방문은 보 반 트엉 국가주석의 초청에 의한 방문으로, 지난해 말 당시 응우옌 쑤언 푹 국가주석의 국빈 방한에 따른 답방 차원이다. 취임 후 첫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국가 양자 방문이기도 하다.


윤 대통령은 23일 트엉 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된 양국 관계의 발전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베트남 권력 서열 1위인 응우옌 푸 쫑 공산당 서기장, 팜 민 찐 총리, 브엉 딩 후에 국회의장 등 베트남 최고지도부와도 개별 면담을 하고 국빈 만찬 등의 일정도 소화한다.


동포 간담회, 한국어 교육기관 방문, 한·베트남 파트너십 박람회, 베트남 진출 한국 기업인과의 오찬 간담회, 비즈니스 포럼, 디지털 미래 세대와의 대화 등의 행사도 예정 돼 있다.


윤 대통령의 이번 베트남 순방에는 4대 그룹 총수를 비롯해 현 정부 출범 후 최대 규모인 205명의 경제사절단이 동행한다.

송오미 기자 (sfironman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1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