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용 육계 공급 확대하고 공정위 실태조사도 추진
“식품업계 같은 인하 보다는 인상 자제에 초점 맞출 듯”
정부가 이번엔 외식업계를 정조준 했다. 라면, 제과, 제빵 등 밀가루 사용 비중이 높은 가공식품에 이어 치킨 등 외식물가 잡기에 나선 모양새다.
하지만 외식업계에서는 매출 원가 중 원재료 비중이 높은 식품에 비해 외식은 자영업자 비중이 높고 변수가 많아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3일 하림 등 닭고기 주요 공급사 10곳과 수급조절협의회를 열고, 치킨의 주원료인 육계 등 닭고기 공급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이후 업계 1위인 하림은 닭고기 공급을 늘리고자 병아리를 얻기 위한 달걀인 '종란' 수입을 추진키로 했다. 내달부터 미국, 유럽연합(EU)에서 8주 동안 총 240만개의 종란을 들여올 계획이다.
외식업계에서는 최근 닭고기 수급회의가 정부발 외식 물가 안정 계획의 신호탄이라고 보고 있다.
지난달 추경호 부총리가 밀가루 가격을 언급한 뒤 라면업계가 가격을 일제히 인하키로 한 것처럼 치킨을 시작으로 외식업계 전반에 정부 압력이 가해질 것이란 의미다.
공정거래위원회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공정위는 최근 치킨값 인상의 배경으로 차액 가맹금(마진) 과다 수취 문제를 집중 점검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최근에는 '2023 가맹분야 실태조사'에 착수했다.
총 21개 업종의 200개 가맹본부와 1만 2000개의 가맹점사업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11월 결과를 발표한다. 오는 9월에는 외식프랜차이즈업계 초미의 관심사인 '필수품목 지정·운영 제도' 정비 방안도 발표할 예정이다.
반면 외식업계는 식품업계와 상황이 다르다는 입장이다. 무엇보다 소비자 판매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많다는 설명이다.
밀가루, 팜유 등 주요 원재료 비중이 큰 식품업계 비해 임대료, 인건비, 가스‧전기 등 공공요금, 배달비 등 매출 원가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다양하다는 것이다.
여기에 가맹본부와 가맹점 간 이해관계가 복잡하고, 대기업 비중이 높은 식품업계에 비해 외식업계는 영세 자영업자 비중이 높아 정부발 압력이 직접적으로 작용하기 어렵다는 것도 근거로 들고 있다.
외식 프랜차이즈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식재료 및 인건비 상승에 구인난까지 겹치면서 가격을 올리자는 점주들 요청이 많은 상황”이라며 “외부 환경 변화 없이 가격만 낮추라고 한다면 가맹본부는 물론이고 가맹점주들 불만이 엄청 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정부에서도 자영업 비중이 높은 점을 감안해 상대적으로 가맹 규모가 크고 여름철 수요가 높은 치킨을 첫 타깃으로 삼은 것 같다”며 “라면 등 식품업계에 요구했던 가격 인하보다는 추가적인 가격 인상을 자제하는 수준에 그치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