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전국 의사 대표들 "정부 입장 철회할 때까지 계속 저항"


입력 2024.02.25 14:36 수정 2024.02.25 19:08        김인희 기자 (ihkim@dailian.co.kr)

"의료계 집단행동 시작·종료 여부 전 회원 투표로 결정"

집단행동 동참하지 않은 의사들에게 압박으로 작용할 듯

주수호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 언론홍보위원장이 22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회관에서 의협 비대위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정부의 의대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추진에 반대하는 의사단체 대표자들이 비상회의를 열고 "정부가 일방적으로 정책을 강행한다면 전체 의료계가 적법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끝까지 저항하겠다"고 밝히며 정부와 의사단체 간의 '강대강' 대치가 이어질 전망이다. 의사단체 대표자들은 "집단행동 시작·종료여부를 전 회원의 투표로 결정하겠다"며 명분을 확보하는 동시에 아직 집단행동에 동참하지 않은 의사들을 향해서도 압박을 가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의사협회(의협)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25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전국 시·도 의사회의 장 등이 참여하는 대표자 확대회의를 개최하고 이와 같은 결의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전국 의과대학 정원 2000명 증원을 즉각 중단하라며, 이 같은 정책이 의학 교육을 부실하게 만들 뿐 아니라 의료비를 폭증시키고 미래세대에 이로 인한 부담을 전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증원과 함께 정부가 추진하는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는 국민의 자유로운 의료 선택권을 침해하고 의사의 진료권을 옥죌 것이라는 주장도 폈다.


김택우 비대위원장은 개회사에서 "작금의 상황은 과거 2000년 의약분업 사태와 비견될 정도로 비상시국"이라며 "이를 막아 내기 위해 의료계 전체가 똘똘 뭉쳐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비대위는 이날 회의에서 향후 의료계 집단행동의 시작과 종료를 전 회원 투표로 결정할지를 물을 계획이다. 앞서 비대위 차원에서 '의료계 단체행동의 시작과 종료는 전 회원 투표로 결정한다'는 방침을 세운 바 있다.


전 회원 투표를 통해 의사단체의 단합력을 과시하는 동시에, 아직 이탈하지 않고 남은 의사들에게도 투쟁대열에 동참하라는 무언의 압박을 가하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회의에 참석한 한 대표자는 "전공의와 전임의들이 이렇게 행동에 나서고 있는데, 개원가 선배들이 가만있어도 되겠나. 향후 집단행동이든 준법투쟁이든 대응 방식에 대한 논의가 나올 것이라 본다"고 말했다.


비대위 관계자는 "상황이 급박해서 당장 다음 주에 어떤 사건이 생길 수도 있는 사태에 대비해 여러 가지를 논의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 종료 후 비대위와 전국 의사 대표자들은 의대 증원 백지화 등을 주장하며 용산 대통령실까지 가두 행진을 하기로 했다.

김인희 기자 (ihki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