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대세론 뚫고 우원식 국회의장 내정
정치효능감 맛본 개딸들, 秋 탈락에 격분
禹도 친명인데, 비명계 멸칭 '수박' 규정에
사퇴 요구·우원식 지지 명단 공개 압박도
16일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2대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로 선출되는 '대이변'을 일으킨 것과 함께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것은 강성지지층·당원들을 일컫는 '개혁의딸(개딸)'들의 행보였다.
'당심'이라고 불리는, 이들이 '점지'한 인물이 국회의장이 되지 않았다는 것에 대한 분개는 그야말로 충천했다. 민주당을 탈당을 하겠다는 엄포부터 시작해 우원식 의원이 국회의원 내정자에서 사퇴할 것을 압박, 여기에 이어 우 의원에게 투표를 한 의원을 '색출'하자는 목소리로까지 전선이 확대됐다.
블루웨이브에 이른바 '이탈표 색출'을 요구하는 글들이 이어진 것에 앞서, 지난달 26일 진즉 올라왔던 민주당 국민응답센터 '국회의장 투표 기명 요청의 건' 청원글은 국회의장 경선이 있었던 이날 오후 6시 25분 기준 청원동의 1만8530명, 동의율 37%를 기록했다. 청원의 골자는"당원들의 민심을 잘 알고 이끌어 가실 분을 당원들은 원하는데, 그에 대한 생각이 민주당 국회의원 분들도 똑같은지 투표를 통해 확인하고 싶다는 것"이었다.
국회의장 후보단 선출은 '무기명' 투표로 이뤄졌다. 그런데 '확인'을 하게 되면 그 다음 수순은 '좌표찍기'와 이에 따른 문자 폭탄 등 실질 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은 자명한 상황이다. '개딸 전체주의' '마녀사냥'이라는 표현이 만연했던 2023년 9월 이재명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 가결 사태 때가 연상되는 대목이다.
우 의원은 '친명'이지만 '초강성' 이미지를 가진 경쟁자 추미애 당선인에 비해선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성향을 지닌 인물로 평가받아왔다. 강성 지지층·당원들 사이에서 우 의원이 그들이 원하는 전투력을 충족시키지 못할 것으로 판단됐던 것은 차치하더라도, 우 의원이 민주당의 기조를 따르겠다는 의지를 보이면서도 여당과의 협치·소통의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에 대한 개딸들의 분개는 더 치솟기도 했다.
이미 지난 총선 공천 과정을 겪으며 비명(비이재명)계의 싹이 거의 잘린 상황이지만, 개딸들은 이날 자의적인 '수박 제조' 현상을 포기하지 않기도 했다. 우 의원은 친명임이 자명한데도 그들이 원한 '초강성' 인물이 아니었기에, 개딸들의 친명 검증을 통과하지 못했다. 이날 부로 우 의원은 비명계에게 가해졌던 멸칭인 '수박'으로 갑자기 돌변할 상황에 직면했다.
추미애 당선인 외에 유력 후보로 꼽히던 조정식·정성호 의원 또한 '친명'이었지만, 이들에게 가해지던 개딸들의 비토 형성 역시 이해할 수 없는 현상이었다.
일련의 상황들을 보면서 모든 것이 이들의 뜻대로 되는 것만이 '민주'인 것인지 묻고 싶다는 생각부터 들었다. 우 의원의 국회의장 선출을 두고는 "당이 건강한 것" "희망을 봤다"라는 정치권의 평가가 나오는 상황이다. 민주당 의원들이 입법부 수장인 국회의장까지 당대표 1인의 마음대로 하는 것만은 막았다는 것이 이유였다.
하지만 개혁의딸들의 이어진 항의는 곧바로 '당이 건강하다'는 느낌이 아닌 '건강이상설'을 연상시키기 충분했다.
이 같은 이상 기류는 단지 우 의원의 국회의장 내정에 따른 분노라고만 보기는 다소 편협해 보인다. 실질적으로는 이들의 '정치효능감'이 통하지 않았다는 것에 대한 울분일지도 모르겠다. 이들은 이미 이재명 대표의 당대표 당선, 대의원제 축소, 박찬대 원내대표가 원내사령탑으로 사실상 추대되는 과정 등을 통해서 막대한 효능감을 맛봤다.
또한 이들의 탈당 목소리가 과연 실제 탈당 대열로 이어질지, 아니면 위력 행사 차원의 '엄포성'에만 그칠지를 두고도 의구심도 잦아들지 않는다. '탈당 카드'는 단지 반란표의 색출을 위한 하나의 도구일 가능성이 있진 않을까라는 의문 때문이다. 이 대표의 '연임론'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당대표와 최고위원들의 진용을 또 만들어야 하는 만큼, 실제론 이들이 당을 쉽게 이탈을 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와 맞물려 다음의 빅 이벤트에서는 누가 친명임에도 불구하고 '비명'이나 '반명'으로 낙인찍히는 순서를 맞을지 역시도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우선 현재로선 개딸들의 자의적이고 억지인 '계파 분화' 판단을 좀처럼 받아들이기가 어려울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