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中 기업들이 중국명 대신 영어이름 갈아타는 속내


입력 2024.05.30 20:22 수정 2024.05.30 21:56        김상도 기자 (sara0873@dailian.co.kr)

미국 성조기와 중국 오성홍기, 틱톡 일러스트. ⓒ 연합뉴스

미국 정부의 블랙리스트에 오른 중국 기업들이 회사명을 영어이름으로 바꿔 미국 기업인 양 행세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9(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정부로부터 블랙리스트 기업으로 지정된 중국의 자율주행차용 라이다 센서기술 스타트업인 허싸이(HESAI)는 미국 내 회사명을 아메리칸 라이다로 변경했다.


자동차가 주변환경을 인식하는데 쓰이는 라이다는 미국 내 민감한 정보를 수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허싸이는 미 국방부의 국가안보 우려기업으로 지정됐고, 미군은 허싸이 제품을 살 수 없다. 허싸이는 "중국 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는 기업이기 때문에 블랙리스트 명단에서 제외돼야 한다"며 미 국방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짧은 동영상 플랫폼인 틱톡은 중국 모회사인 바이트댄스의 이미지를 지우기 위해 미 법인을 세우는 등의 노력을 벌여왔다. 중국 생명공학 기업인 베이징유전체연구소(BGI)그룹의 계열사 BGI 제노믹스는 미 규제당국의 제재를 피하기 위해 매사추세츠주에 있는 자회사 BGI 아메리카스의 사명을 이노믹스로 변경했다. BGI 제노믹스는 2022년 미 국방부의 중국군 유관 기업 명단에 오른 바 있다.


세계 드론 시장을 장악한 중국의 DJI도 제제를 피하기 위해 미국 스타트업과 기술 라이선스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현지 판로를 뚫었다. 세계 최대 통신장비업체 화웨이도 앞서 지난 2019년 미국의 거래제한 기업에 등록되자 미국 내 연구·개발(R&D)지사 퓨처웨이를 계열 분리한 바 있다.


중국 기업이 미국명으로 브랜드를 바꾸거나 새로운 상호로 미국에 자회사를 설립하는 것은 불법이 아니라고 WSJ는 설명했다. 다만 중국 기업들의 이런 행보가 기업의 배후를 명확하게 드러내지 않아 미국 법이 제대로 집행되지 않도록 하는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데릭 시저스 미국기업연구소(AEI) 연구원은 "제재 효력을 높이려면 미국 정부는 개별 기업을 제재할 것이 아니라 기술 부문을 제재 범위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상도 기자 (sara0873@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