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시름 깊어지는 K-철강...“정부 역할 필요” 목소리 커져


입력 2024.09.04 07:00 수정 2024.09.04 07:00        정인혁 기자 (jinh@dailian.co.kr)

中 내수 부진에 해외 수출 사활

원자재 가격 하락에 수익성도 악화

CBAM줄줄이 시행..."연간 수천억 필요"

"정부의 장단기적 대응책 필요"

중국 랴오닝성 선양의 철강 도매 시장ⓒAFP/연합뉴스

국내 철강업계의 시름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철강제품 가격 하락으로 수익성이 악화하고, 유럽연합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미비한 상황에서 중국산 저가 물량 유입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다. 업계 안팎에선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거세지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철강업계는 중국산 저가 제품 공습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 중국은 전 세계 철강 수요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만큼, 글로벌 최대 철강 생산국으로 꼽힌다. 최근 내수 시장이 침체하면서 잉여 생산분을 해외로 밀어내고 있다.


중국의 밀어내기 물량은 국내 철강업계에 타격이다. 중국의 대한국 수출액은 2022년 28억 달러에서 지난해 37억 달러로 32% 정도 증가했다. 올해 수입 물량도 지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올해 1~5월까지 중국에서 수입한 물량은 407만t으로 전년 동기(396만t)보다 늘었다.


중국산 저가 물량은 올해에도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지난 1일(현지시간) 중국 상하이에 본사를 둔 컨설팅업체 마이스틸(MySteel)을 인용해 올해 중국의 철강 수출량이 2016년 이후 최고치인 1억t을 돌파할 것으로 관측했다.


이에 대해 국내 철강업계 한 관계자는 "모든 물량이 고르게 전세계로 퍼지겠지만, 중국산 제품 때문에 시름하는 국내업체들 입장에선 반가운 소식이 아니다"면서 "중국 제품과의 경쟁이 끝이 아니라는 게 가장 큰 우려"라고 말했다.


주요 원자재인 철광석의 가격이 크게 내려가 제품가가 떨어진 점도 업계의 우려 중 하나다. 산업통상자원부 원자재 가격정보에 따르면 지난달 평균 철광석 가격은 t당 98.10 달러로, 지난달 대비 7.4% 하락했다. 통상 업계의 손익분기점인 100 달러 이하로 떨어진 것이다. 올해 1월(135.13달러) 가격과 비교하면 27.4% 하락했다.


원자재 가격 하락이 제품가격 인하로 이어지면서 업계의 실적에도 영향을 미쳤다. 포스코의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은 720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34%가량 줄었다. 현대제철도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영업이익이 80.8%나 감소했다.


철강업계의 대외적 악재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유럽연합의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가 본격 시행을 앞두고 있다는 점도 큰 부담이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업계에 따르면 CBAM 도입 이후 국내 철강 부문이 감당해야 할 10년간 누적 비용이 3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2026년 851억원 수준에서 점차 증가해 2034년부터 5500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추정된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CBAM의 도입으로 가장 재무적 부담이 큰 산업은 철강업"이라면서 "저탄소 제품 개발 등으로 위기를 벗어날 수 있겠지만 그러한 제품들을 준비하는 게, 기업 입장에서는 또다른 부담이다. 정부만의 역할이 따로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는 장‧단기적인 대응책을 정부가 제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재윤 산업연구원 소재산업환경실장은 "단기적으로는 수입이 급증하는 부분을 직접적인 관세를 매길 것인지, 모니터링 시스템 등은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 논의하면서 불이익이 없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수출 과정에서는 미국 대선 결과에 주목하며 대응해야 한다"면서 "우리가 미국에 수출할 때 원산지 기준이 강화되면서 불편을 많이 겪었다. 이러한 보호무역 조치가 대선 결과에 따라 결정될 텐데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실장은 장기적으로도 국산 제품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정부의 지원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술 개발이야 기업들의 역할이겠지만 에너지 인프라 확대, 설비 전환을 위한 재원 지원 등은 정부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인혁 기자 (jin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