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소드 연기? 그 순간 최선을 다한 것뿐…이번에는 최대한 편하게 풀어봐.”
드라마 ‘로스쿨’ 이후 3년 만에 안방극장에 복귀한 배우 김명민이 이번에도 ‘믿고 보는’ 연기로 시청자들을 몰입하게 했다. 배우 손현주와 함께한 ‘유어 아너’를 통해 ‘배우들이 연기 차력쇼를 펼치고 있다’는 극찬을 받았지만, 김명민은 ‘최대한 편하게’ 풀어내려고 했다며 ‘메소드 연기’를 부정했다. 아들과 함께 3년이라는 소중한 시간을 보내면서 한층 여유 있어진 김명민이 이번엔 다른 연기 기법으로 캐릭터를 완벽하게 표현한 것이다.
김명민이 연기한 김강헌은 우원시를 손에 쥔 권력자로, 모두를 공포에 떨게 만드는 무소불위의 권력을 이용해 아들을 죽인 범인을 쫓는 인물이다. 아들의 살인 사건을 은폐한 존경받던 검사 송판호(손현주 분)와의 물러설 수 없는 대결을 통해 지니TV 오리지널 드라마 ‘유어 아너’의 시청률 상승세를 중심에서 이끌었다.
김명민이 가장 신경을 쓴 부분은 김강헌의 ‘존재감’이었다. 이를 위해 6kg을 증량하며 ‘압도적인 위용’을 표현하기 위해 애썼고, 이것이 ‘유어 아너’ 전반에 흐르는 긴장감의 비결이 됐다.
“대사도 많지 않았는데, ‘포스’가 지문에 많이 표현이 돼 있었다. ‘대부’의 말론 브란도와 알파치노의 중간처럼 표현을 해보려고 했다. 슈트나 이런 것도 클래식한 것을 입고, 좀 무겁게 그리려고 했다. 살은 찌우려고 해도 쉽게 안 찌더라. 매니저에게 부탁을 해서 일부러 고칼로리 햄버거를 먹고 잔 뒤에 촬영장에 나가기도 했다. 얼굴이라도 부어서 나가고 싶었다. 평생 먹어볼 햄버거를 다 먹어본 것 같다.”
김강헌의 무자비함을 잘 표현하는 것도 중요했다. 아들을 살리기 위해 자신의 신념도 저버리는 송판호의 처절한 선택을 살리기 위해선 김강헌의 ‘존재감’이 무엇보다 중요했던 것. 김명민은 ‘대단한’ 배우 손현주와 함께라 ‘유어 아너’가 더욱 의미 있었음을 강조하면서 ‘연기 시너지’의 비결을 짐작케 했다.
“내적으론 김강헌의 상황에 집중하고자 했다. 저도 비슷한 상황의 아버지다. (아들의) 나이대도 같아서 감정 이입을 조금 더 수월하게 했던 것 같다. 제가 잘 못 받쳐드리면 손현주 형님의 캐릭터도 안살지 않나. 내가 최대한 무섭게 보여야 했고, 그러기 위해서 노력했다.”
외적인 변신까지 감행하며 김강헌에 완벽 몰입한 김명민이지만, ‘메소드와는 좀 거리를 두고 싶다’고 말했다. ‘모든 배우들이 이 정도 노력은 한다’며 겸손한 모습을 보였지만, 때로는 처절하게 체중 감량을 하며 캐릭터에 푹 빠져드는가 하면, 때로는 덜어내며 시청자들에게 자연스러운 연기를 선보이는 김명민의 유연함과 노련함이 돋보이는 대목이었다.
“‘너 너무 힘들어 보인다’, ‘사람들이 멀리한다’고 하더라. 쉽게 쉽게 연기하는 흐름을 요즘 좋아한다는 충고를 들었다. 너무 강압적으로 하는 것 같아 힘들어 보인다는 말도 있었다. 그 순간 최선을 다했는데, 누군가에겐 그렇게 보일 수 있겠더라. 이번에는 최대한 좀 편하게 풀어보자는 결심을 했다. 살 이야기도 안 하려고 했지만, 주변에서 ‘왜 그렇게 살이 쪘냐’는 이야기도 하시길래 그냥 좀 찌웠다고 한 게 부각이 됐다. 옛날에 극한 다이어트를 한 그 영화의 영향도 있는 것 같은데, 사실 살찌우는 것 말고는 힘든 건 많이 없었다.”
3년이라는 공백기 동안, 아들과 함께 추억을 쌓으며 여유를 찾기도 했다. 골프 선수로 활약하던 아들이 골프를 그만둔 이후 다시 공부를 시작하며 받게 된 스트레스를 덜어주기 위해 게임을 배워 소통하고, 또 함께 여행을 하며 가까워지기도 했다. ‘이제는 친구 같다’는 김명민에게는 연기 활동만큼 좋은 시간이 됐다.
“시간이 금방 지나가서 저는 공백기를 잘 체감하지 못했다. 가족들과 보낸 시간이 너무 좋았다. 처음 한 달, 두 달은 답답함이 조금은 있었다. 작품을 하다가 쉬면 몸이 근질거리지 않나. 밖으로 나가고 싶고, 촬영하고 싶었다. 그런데 제가 소원했던 것들을 아들과 나누니 너무 좋았다. 질문을 받고서야 3년 공백이라는 걸 느꼈다. 그게 내게 부담은 아니었다. 신인이나 지금이나 똑같은 김명민이고, 작품 앞에선 진지하게 노력하려고 한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똑같은 것 같다. 앞으로 또 공백이 있을진 몰라도 또 생긴다고 하더라도 제 마음가짐이나 자세는 크게 달라질 것 같지 않다.”
앞으로도 ‘좋은’ 작품으로 시청자들을 만나고 싶다는 마음은 그대로였다. 가볍지만, 유쾌한 전개로 웃음을 주는 드라마가 인기를 끌지만, ‘유어 아너’처럼 묵직하게 메시지를 전하는 작품도 필요하다고 여겼다. 언제 봐도 ‘통할’ 작품이 필요하다는 김명민의 소신은 그의 다음 작품을 기다리게 할 수밖에 없었다.
“드라마는 정통성이 중요한 것 같다. 언제 드라마를 보더라도 인간의 감정으로 통과하는 작품이 정통성 있는 드라마라고 여긴다. ‘유어 아너’가 그런 것 같다. 언제 내놔도 공감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물론 내 현실이 아니지만, 부성애를 놓고 보면 상황이 다 달라도 공감을 할 수 있는 거다. 자식이 있고, 부모가 있는 사람이면 대입을 하게 되는 것 같다. 어느 분은 송판호를 지지하고, 김강헌을 지지하는 분도 있을 수 있다. 제가 생각하는 드라마의 힘은 시대를 막론하고 보는 이들의 정서를 건드리는 것이다. 오래전 ‘모래시계’, ‘여명의 눈동자’가 저는 그립기도 하다. 이런 작품은 시청률면에서 딸리지 않을 것 같다. 지금은 쇼츠가 인기 있고, 요약본으로 드라마를 보는 시대라도 그런 작품이 나오면 눈을 안 뗄 것 같다. 물론 시류를 따라가는 작품도 있어야 한다. 동시에 전통성 있는 작품도 함께 나와주면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