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저축은행, 올해 PF 부실정리 ‘총력’…M&A도 ‘시동’


입력 2025.01.13 13:19 수정 2025.01.13 13:22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상반기까지 16조2000억 부실사업장 정리

중앙회, NPL회사 만들어 부실채권 상·매각

저축은행 사옥 이미지. ⓒ 저축은행중앙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로 불황에 빠진 저축은행이 올해 적극적인 부실 정리로 실적 반등에 나선다.


올 상반기까지는 금융당국의 PF 부실 사업장 재구조화·정리가 지속되는 만큼 건전성에 총력을 기울여야 하지만 하반기부터 턴어라운드 기회를 마련할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본격적인 저축은행의 인수합병(M&A)도 이뤄질 지 주목된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중앙회는 올해 상반기 내로 부실채권(NPL) 회사 설립을 추진한다. 금융당국과 협의해 중앙회 산하에 NPL사를 만들어 업계가 보유한 부실채권을 신속하게 처리한다는 계획이다.


자본금은 NPL 설립에 필요한 최소 기준 5억원이다. 향후 1000억원까지 자본금을 늘려 1조원 규모의 NPL을 매각하겠다는 복안이다. 대부업법 시행령에 따르면 대부업체의 총 자산은 자기자본 10배 이내로 제한된다. 자본금은 대행 저축은행들이 출자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저축은행의 행보는 연체율 해소를 통해 자산건전성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저축은행업권은 고금리 장기화와 고물가로 3개월 이상 연체된 NPL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소규모, 브릿지론-토지담보대출, 중소 건설사 참여 사업장 비중이 높아 타업권 대비 PF부실 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새마을금고나 신협, 수협 등 타 중소금융권도 NPL 자회사를 설립해 부실 털어내기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아울러 PF 부실사업장의 적극적인 경·공매와 재구조화에도 속도를 낸다. 금융당국의 사업성 평가 결과에 따르면 경·공매 등 정리나 신규 자금 투입을 통한 재구조화가 필요한 유의(C)·부실우려(D) 등급 여신은 22조9000억원 규모로 전체 10.9%로 집계됐다. 이중 저축은행 비중은 4조4000억원으로 2위를 기록했다.


당국은 금융사들로부터 재구조화·정리 계획을 제출받았다. 이에 따라 내년 상반기까지 16조2000억원 규모의 부실사업장을 정리할 방침이다. 금융권에서는 올해 상반기까지는 저축은행업권의 부실 여파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앞서 지난해 3분기 국내 79개 저축은행은 258억원 깜짝 흑자를 달성했지만 4분기 실적은 다시 적자 전환한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는 M&A도 활발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PF 부실에 따라 자본적정성과 자산건전성이 악화되면 이 과정에서 증자 여력이 부족한 저축은행은 M&A를 통해 활로를 모색할 가능성이 크다.


현재 부실이 심화된 상상인저축은행은 업계 2위 OK저축은행과 매각 논의를 진행 중이다. 지난해 금융당국으로부터 ‘적기시정조치’를 받은 라온저축은행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비 제조사 베셀이 인수를 추진 중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저축은행업계 재편이 속도를 내려면 수도권 M&A 규제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