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기관과 연계한 우수 프로그램 과목으로 개설
특화된 공간에서 전문 기자재 활용, 지역사회 전문가 교과목 운영
경기도교육청이 '경기공유학교 학점인정형’을 도내 모든 지역으로 확대 운영한다고 4일 밝혔다. 학생의 다양한 학습 기회를 보장하고 교육의 공적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경기공유학교 학점인정형'은 교육지원청이 지역사회 기관과 연계 운영하는 우수한 프로그램 중에서 학생 수요, 만족도, 학교교육과정 개설 여부, 교육내용 체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과목으로 개설해 운영한다.
특히 지역사회 기관과 연계한 개설 과목을 특화된 공간에서 전문 기자재를 활용하고, 지역사회 전문가가 교과목을 운영하고 있어 학교에서 배우기 어려운 과목을 더 깊이 배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난해 △고양 △구리남양주 △김포 △부천 △성남 △안산 △용인 △이천 △의정부 교육지원청은 지역사회 기관(대학 등) 및 과목 개설에 대한 심의와 학생 모집 절차를 마쳤다. 오는 3월부터 200여 명의 학생들이 12개 '경기공유학교 학점인정형'에 참여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도교육청은 지난 1월 23일 교육지원청 고교학점제 및 공유학교 담당자 대상으로 '경기공유학교 학점인정형' 추진 협의회를 실시하고 지원 방안을 안내했다.
2022 개정 교육과정 도입과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을 앞둔 시점에서 '경기공유학교 학점인정형' 확대는 학교 교육을 보완하고 지역 학생들의 학습 선택권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도교육청은 기대하고 있다.
한편 도교육청은 '경기공유학교 학점인정형’ 운영 역량 강화와 질 관리를 위해 운영 주체별 연수, 운영 도움 자료 개발, 현장 맞춤 컨설팅 및 모니터링 운영, 평가 및 결과 환류 등을 실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