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부산대 등 유급 예정 통지…정부 "복귀율 보고 의대 정원 확정"
의대 본과생들의 수업 복귀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일부 대학이 수업 미참여 학생들에게 유급 예정 통지서를 발송하며 학사 조치에 나섰다. 교육부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학사 유연화는 없다는 기존 방침을 재확인하며, 전체적인 복귀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확정하겠다고 밝혔다.
7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일부 의대는 이날부터 수업 거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유급 예정 통지서를 발송했다.
연세대는 본과 4학년 학생들에게 출석일수 미달로 인한 유급 예정 통지서를 발송했으며, 부산대 역시 이날까지 출석하지 않은 학생은 유급 처리하겠다고 안내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대 의대는 이날까지 수업 참여 현황을 파악해 유급 예정 통지서를 발송할 계획이다. 본과생들은 대부분 수업에 복귀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홍순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관(의대국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지난주까지 학생들이 100% 복학했으나 진짜 복귀는 수업에 참여하는 것"이라며 "본과 3·4학년생을 중심으로 (수업에) 많이 돌아온 건 확실하다"고 말했다.
교육당국은 의대 본과 3·4학년을 중심으로 수업 참여율이 높다고 파악하고 있으며, 전체적인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확정할 계획이다.
의대 본과 3·4학년은 병원 실습을 중심으로 수업이 진행되는 데다, 의사 국가시험 응시를 위해 주당 36시간, 총 52주 임상실습 기간을 채워야 하는 규정이 있어 수업 거부를 이어가기엔 부담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부분 의대는 온·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하다 이날부터 차츰 전면 대면 수업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반면 예과생들의 복귀율은 여전히 저조한 상황이다. 김 국장은 "고학년이 돌아오면 분위기가 같이 움직이는 게 있어서 예과생도 돌아올 것으로 기대한다"면서도 "이번에는 학사 유연화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공통·교양필수 과목을 중심으로 출석률을 파악해 달라고 대학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메디스태프 등 일부 의사·의대생 커뮤니티에서 복학생 신상 정보가 유포될 경우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에 긴급 폐쇄를 요청할 방침이다. 방심위는 지난달 28일 메디스태프에 대한 수사 의뢰 게시물을 삭제하고, 악성 이용자의 이용권 해지 등을 요구한 바 있다. 김 국장은 "방심위 결정 이후에도 민원이 또 접수됐다"며 "민원이 한 번 더 접수되면 메디스태프에 대한 긴급 폐쇄 요청을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