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정책학회·한국통신학회·한국경영과학회는 17일 오후 2시 프레스센터에서 ‘AI 시대, 국가 ICT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방향’ 토론회를 공동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책토론회는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과 가속화하는 AI 전환 속 우리나라 ICT 산업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글로벌 주도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우리나라가 지향해야 할 ICT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토론회는 그동안의 ICT 정책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신정부 ICT 정책의 혁신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들이 제시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경원 동국대 교수(정보통신정책학회 회장)가 좌장을 맡아 진행하는 토론회 1부에서 신민수 한양대 교수는 ‘새로운 IT 패러다임과 IT산업 혁신 정책’을 주제로 IT 패러다임 3.5를 지향하는 차세대 3대 혁신 전략과 18개 방안을 제안한다.
곽규태 순천향대 교수는 ‘AX 시대, 플랫폼 ·미디어 정책의 주요 이슈’를 주제로 플랫폼·미디어 정책 패러다임 전환의 8대 방향성을 제시할 예정이다. 모정훈 연세대 교수는 ‘AI 시대의 산업 혁신과 정책 방향’을 주제로 '정부와 민간의 전략적 역할 분담 방안' 등 AI 강국 도약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들을 제안한다.
홍인기 경희대학교 교수는 ‘AI 네트워크 진화와 디지털 접근권’을 주제로 6G를 향한 AI 기반 네트워크 혁신 방안과 AI 시대의 디지털 접근권 제고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토론회 2부에서는 김경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정책관, 신영규 방송통신위원회 방송통신이용자정책국장, 안정민 한림대학교 교수, 이종관 법무법인 세종 박사, 이홍주 가톨릭대학교 교수, 황승훈 동국대학교 교수가 토론자로 참석한다.
허준 고려대 교수(한국통신학회 회장)는 “글로벌 패권 경쟁과 AI 전환이 심화하는 현시점에서 ICT 정책과 산업은 국가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핵심 요소”라며 “이번 토론회가 국가 ICT 정책 및 산업 패러다임을 혁신하고 ‘AI 주도국’으로 도약하는데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