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행 은폐 논란' 정진후 비례공천에 네티즌들 비난 봇물
"운동권 기득권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이런 잡것들 설치는 정당"
“성폭력 피해자 인권을 짓밟는 정당이 진보인가.”
통합진보당이 ‘성폭행 은폐’논란의 정진후 전교조 전 위원장을 비례대표로 영입하기로 결정한 것과 관련, 온라인에선 비난 목소리가 울려 퍼졌다.
특히 포털사이트 게시판과 트위터 등 SNS에서는 “정 전 위원장 영입을 포기하지 않으면 통진당 지지를 철회하겠다”는 ‘진보진영의 실망’과 “이런게 진보정당이냐”는 비판이 교차했다.
통합진보당과 궤를 같이 하는 진보신당도 비판대열에 합류했다. 진보신당은 2일 논평에서 “성평등 가치는 진보가 실천해야할 기본 중의 기본”이라며 “통합진보당이 내세운 첫 개방형 전략 비례대표가 하필 성폭력 문제와 결부된 인물인 것은 매우 유감스러우며 이후 도덕적, 정치적 비판에서도 자유롭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논평은 또 “정 전 위원장은 재임 2년 내내 조직 내 발생한 성폭력 사건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대의원대회에서 '경고' 처분을 받았고, 성폭력 피해자에게 고통과 수치를 현재까지 안겨주고 있다고 피해자 지지모임이 울분을 토로하고 있는 인물”이라며 “그대들 당 이름에 새겨져 있는 '진보'의 기본은 성평등이라는 상식은 어디로 갔나”라고 꼬집었다.
다만 진보신당은 진보진영의 ‘내전’을 우려해 논평의 수위를 조절했다. 거친 비판 대신 “안타깝다” “유감스럽다”는 표현을 썼다. 논평 명의 역시 ‘부대변인(박은지)급’으로 비중을 낮췄다.
아이디 ‘평검사’는 당 홈페이지 게시판에 올린 글에서 “(성폭행) 피해자 선생님은 전교조를 탈퇴하고 민노당 후원 재판 과정에서 아무런 지원도 정보도 제공받지 못했는데, 통진당은 ‘똥진당’이라는 공식이 성립한다”며 “운동권 기득권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이런 잡것들이 설치는 정당을 진보라고 생각하고 그들을 동지라고 생각하는 당내 분들이 있다면 생각을 정리하길 바란다”고 지적했다.
'오마이뉴스'도 '민중의소리'도 비판
진보 매체인 ‘참세상’과 ‘민중의소리’ 역시 정 전 위원장을 비례대표 후보로 내세운 통합진보당을 겨냥했다. 정 전 위원장이 지난 2008년 민주노총 간부 김모씨가 전교조 소속 이모씨를 성폭행하려다 미수에 그친 사건 당시 민주노총 지도부 등과 함께 사건을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을 자세히 되짚었다. ‘오마이뉴스’도 “정 전 위원장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어 이 또한 암초로 자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네티즌들은 SNS에서 관련 기사를 퍼 나르며 비판여론을 확산시키고 있다. ‘hoonytokyo’는 “(성폭행 은폐 의혹을) 확인할 수 없다니. 물의의 한 가운데 섰으면 책임을 져야 한다. 새누리당으로 가시던가”라고 꼬집었다.
‘Ja Yoon Koo’는 “강간미수 사건을 조직적으로 은폐, 축소하려 한 의혹이 있는 정 전 위원장을 통합진보당에서 비례후보로 낸다는데, 성폭력 피해자 인권도 배려하지 않는 정당이 과연 진보인가”라고 말했다.
‘FEMC4’는 “정진후 문제는 옹호하고 넘어갈 일이 아니다. 북한에 당직자 성향 보고하던 인간들을 옹호하다가 훅 간거 반복할게 아니라면 얼른 정리하고 넘어가야한다”고 강조했다. ‘sanha88’은 “정진후 이 인간이 통진당 (비례대표)1번이야. 2번은 강용석이를 부를 거냐. 황당무계한 일”이라고 개탄했다.
진보진영에선 ‘악동’역할을 맡아온 진중권 동양대 교수에 대한 호응도 잇따랐다. 진 교수가 트위터에 “이정희, 유시민, 노회찬표 진보는 조직을 위해 강간미수 덮어버리는 것”이라고 비판한 것을 두고 “진 교수가 옳은 소릴 다하네”라며 진 교수의 글을 리트윗 하고 있다.
아울러 온라인 진보진영 지지자들 사이에선 “이런다고 진보의 지지율이 오를 것 같으냐”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총선을 앞두고 진보진영 간 싸움이 계속되면 ‘필패’라는 논리다. “정 전 위원장을 둘러싼 사건을 좀 더 명확하게 알릴 필요가 있다”며 정 전 위원장을 옹호하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한편 지난 2008년 발생한 ‘민주노총 성폭력 사건’은 민주노총 간부 김모씨가 전교조 소속 이모씨를 성폭행하려다 미수에 그친 사건으로, 당시 민주노총과 전교조 지도부가 사건을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이듬해 민주노총 핵심 간부들이 사퇴하기도 했다. 정 전 위원장은 당시 전교조 위원장으로 있었다.[데일리안 = 이충재 기자]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