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능적 이끌림, 강력한 중독성 ‘마마, 돈 크라이’
1인극→2인극, 캐릭터 매력 극대화
빼어난 록음악 향연, 배우 열연 볼만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의 상상력을 자극해온 드라큘라 백작은 1987년 작가 브램 스토커(1847~1912·아일랜드)의 소설을 통해 본격적으로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스토커는 15세기 실재했던 루마니아의 왈라키아 대공인 블라드 5세의 이야기를 참고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어린 시절부터 사람 죽이기를 즐겼던 블라드 5세는 루마니아어로 ‘악마의 아들’이란 뜻의 ‘드라쿨레아’로 불렸다.
뮤지컬 ‘마마, 돈 크라이’는 바로 이 전설의 주인공 드라큘라 백작을 무대 위로 불러낸다.
천재 과학자이자 사랑이 두려운 존재 프로페서V는 드라큘라 백작의 사악한 이미지가 그의 치명적 매력을 시샘한 자들에 의해 왜곡돼 왔다고 굳게 믿는다. 그리고 그 매력을 얻기 위해 타임머신을 개발해 과거로 날아간다.
무대 위에 등장한 드라큘라 백작은 프로페서V의 믿음대로 누구도 뿌리칠 수 없는 유혹의 손길로 관객들을 사로잡는다. 모노극에서 2인극으로 탈바꿈하면서 드라큘라 백작의 비중이 높아졌고, 유혹에 이끌려 파멸돼 가는 프로페서V의 모습은 더욱 흥미진진하게 전개된다.
다만, 아쉬운 점은 익숙한 소재와 단순한 스토리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많은 관객들이 작품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이다.
은유적이고 시적인 가사와 제목이 갖는 모호함(많은 관객들은 제목이 왜 ‘마마, 돈 크라이’인지 의문을 제기한다), 그리고 수시로 과거와 현재를 오가는 시제의 혼동이 작품의 이해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그만큼 사전에 캐릭터와 스토리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습득한 후 관람하는 것이 좋다.
물론 이 같은 단점이 작품의 가치를 훼손할 정도는 아니다. 귀에 착착 감기는 록음악의 향연이 끊임없이 관객들의 오감을 자극하며, 코앞에서 펼쳐지는 배우들의 열연은 관객들의 심금을 울린다.
특히 근래 창작뮤지컬 가운데 가장 매혹적이고 중독성 강한 음악은 이 작품이 가진 가장 큰 힘이자, 뮤지컬로서 롱런을 기대하게 하는 요소다. ‘프로페서V’는 독특한 편곡과 재기발랄한 멜로디가 돋보이며, 평범하게 살기를 바랐던 어머니에 대한 미안함을 노래하는 ‘마마, 돈 크라이’를 통해 제목에 대한 관객들의 의문을 풀어낸다.
‘하프 맨 하프 몬스터’와 ‘달의 사생아’는 비참한 파멸로 내몰리는 프로페서V의 방황을 효과적으로 그렸으며, ‘피티 데이트’와 ‘나 이렇게 행복해도 되는 걸까’는 결혼식 축가로도 어울릴 만큼 감미롭고 달콤하다. 중간 중간 더해지는 ‘은하철도 999’와 마이클 잭슨의 ‘빌리진(Billie Jean)’은 관객들의 흥을 돋운다.
‘마마, 돈 크라이’를 관람한 관객들이라면 극장 문을 나서며 뮤지컬 넘버를 흥얼거리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무대 역시 초연에 비해 한층 업그레이드됐다. 배우들의 동선은 반원형 무대를 효율적으로 활용해 양 사이드에 앉아 있는 관객들이 작품에 몰입하는 데 도움을 준다. 객석을 압도하는 조명과 안무도 인상적이다.
다만, 프로페서V와 드라큘라 백작의 대비되는 매력이 무대 중앙 뒤쪽에서 쏘아 올리는 조명과 함께 극대화되는데, 이 장면의 묘미는 객석 가운데에 앉은 관객들이 아니면 100% 만끽할 수 없다는 점이 아쉽다.
배우들의 조합도 훌륭하다. 송용진, 허규, 임병근(이상 프로페서V), 고영빈, 장현덕(이상 드라큘라 백작) 등 이미 관객들로부터 든든한 신뢰를 받는 배우들은 이번 공연에서도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다.
록밴드 ‘쿠바’를 이끌고 있는 송용진은 그야말로 물 만난 물고기다. 파워 넘치는 보컬과 눈물을 흘리며 펼치는 연기에 대한 열정은 객석 구석구석까지 전달된다. 초연 당시에도 호평을 받은 허규는 감미로운 미성에서 터져 나오는 샤우팅이 압권이며, 임병근 또한 오타쿠 기질의 프로페서V의 매력을 잘 녹여냈다는 평가다.
이 작품을 위해 극단적인 다이어트를 감행한 고영빈과 장현덕의 매력을 비교해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고영빈은 특유의 부드러운 미소와 중성적인 매력이 돋보이며, 장현덕은 보다 더 여성적이고 차가운 이미지의 드라큘라 백작을 선보인다.
3년 만에 업그레이드 된 ‘마마, 돈크라이’를 위해 김운기 연출, 이희준 작가, 박정아 작곡가가 초연에 이어 다시 한 번 뭉쳤다. 페이지원이 제작하고 설앤컴퍼니가 힘을 보탰으며 5월 26일까지 충무아트홀 중극장 블랙에서 공연된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