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개성공단에 남측 인원 30여명 10일부터 체류 합의


입력 2013.09.10 16:19 수정 2013.09.10 16:35        목용재 기자

정부 “공단 재가동이라는 전체적인 흐름에서 점검팀이 지속적으로 방북”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 2차 회의가 10일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에서 열려 남북대표단이 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남북이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 2차 회의에서 개성공단에 우리 측 인원 30여 명의 체류를 10일부터 허용하기로 합의했다.

김기웅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은 10일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에서 열린 2차 회의에 들어가기 앞서 “개성공단 기반시설 관리를 위한 우리 측 인원을 체류한다는 계획을 알린다”고 말했고 박철수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부총국장은 이에 동의했다.

이날 통일부 당국자는 공동위 2차 회의 오전 접촉 결과를 전하면서 “우리측 위원장은 본격적인 회의에 앞서 서해 통신선이 복구됐기 때문에 오늘부터 우리측 인원이 체류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북측은 ‘미리 알려주지 왜 오늘 말하나’면서 동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개성공단 관리위원회, 한국전력공사, KT, 수자원공사, 개성공단 내부 식당 등의 인력 30여 명이 오늘부터 3~4일 동안 체류할 예정이다. 이 기간 동안 체류인원들은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생산활동을 위한 기반시설 점검에 돌입한다.

통일부 당국자는 “현지의 상황에 따라 체류 인원이 변동될 수 있다. 우리 측 인원의 체류에 대해 북측이 동의했기 때문에 체류에는 큰 지장이 없을 것”이라면서 “공단의 재가동이라는 전체적인 흐름의 연장선상에서 점검팀이 지속적으로 방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남북은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에 대한 북측의 피해보상에 대해서도 남북은 지속적인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우리 측은 북한에 성의있는 조치를 요구했고 북측도 그 부분에 대해서는 인식을 같이하고 공감했다”면서 “입주기업들의 피해를 어떻게 보전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개성공단의 국제화와 투자보장 논의에 대해선 “국제화, 투자보장 등에 대해서는 양측의 이견이 거의 없다고 봐도 된다”면서 “신변안전이나 3통(통신·통관·통행) 문제에 대해서도 양측간 쟁점이 될 만한 의견차는 없다”고 말했다.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의 사무처 구성에 대해서는 남북이 상당부분 입장차를 좁히면서 사무처의 장소와 인원, 가동 시기에 대해 구체적인 조율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사무처 구성 합의문이 오늘 내로 도출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당국자의 설명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남북이 2차 회의에서 개성공단 재가동 시점 등 합의문을 도출할 가능성에 대해선 “합의문이 오늘 나올 수 있을지는 장담하지 못 한다”면서 “아주 실무적인 이야기를 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합의문안을 논의하는 과정 등에서 북측과 이견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목용재 기자 (morkka@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목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