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상권 침해, 갑을 논쟁 등 뜨거운 감자
'기선잡기용 부실감사' 우려의 목소리도
올 국정감사에서 유통업체 관련 총수와 최고경영자(CEO)들이 대거 증인으로 채택되자 유통업계가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번 국정감사에서 유통업계와 관련된 이슈는 대형마트의 골목상권 침해, 갑을 논쟁, 일감 몰아주기 등이 될 것으로 보인다.
11일 국회 및 업계에 따르면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의 올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된 유통업계 관련 인사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을 비롯해 모두 48명에 달한다.
오는 15일 도성환 홈플러스 대표이사, 김성환 신세계푸드 대표이사, 장재영 신세계백화점 대표이사, 허인철 이마트 대표를 시작으로 11월 1일에는 신 회장이 출석할 예정이다.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은 명단에서 빠졌다.
산업위는 롯데그룹엔 가맹점과 대리점 횡포에 대한 질문을, 김성환 신세계 푸드 대표와 허인철 이마트 대표에겐 중소납품업체 기술탈취 등 불공정거래 행위와 관련한 질문과 함께 상생 해법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유통업계는 정부의 기업상생 정책에 따라 지역과 협력하는 방안 마련에 고심하던 중에 '무더기 증인 출석'이란 악재를 만나 곤혹스럽다는 분위기다. 최근 신세계백화점은 남대문 시장의 환경개선을 지원하겠다고 나섰고, 롯데백화점도 기금을 마련해 점포개선을 돕기로 했다.
롯데측은 “아직까지 공식적인 입장이 없다”면서도 "질문 준비 등은 일단 국감 통지서가 나오면 한번 봐야 할 것 같다”고 말을 아꼈다.
신세계측도 "아직 국감이 시작되기 전이라 업체에서 가타부타 할 상황은 아닌 것 같다"면서도 "일단 국회에서 하는 일이니 따라야 한다는 방향"이라고 말했다.
익명의 한 유통업체 관계자는 "국정감사 증인 채택에는 이유가 다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회사나 대표의 이름이 거론되는 게 달갑지만은 않다"며 "정부가 마련한 기업상생 정책에 보조를 맞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상황인데 안타깝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각 업체들은 국감에 대비해 지역상생 방안 마련과 더불어 국회의원들의 질문에 대한 답변 준비로 분주하다. 업체 관계자는 "답변 준비를 각 사별로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지금으로서는 국정감사가 돌발 상황 없이 무사히 끝나기를 바랄 뿐"이라고 전했다.
한편에서는 기업들의 이같은 우려와는 다르게 국정감사 일정이 지나치게 짧아 '기선잡기용 부실 감사'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휴일을 제외하면 상임위 한 곳당 하루 3~4개의 기관을 상대해야하는데 제대로 된 감사가 이뤄지겠느냐는 것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이와 관련 "기업 대표들이 증인으로 채택되면 경영에 전념할 수 없어 경쟁력 하락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