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림사건 피해자들, 노무현 묘소 참배 "미안합니다"
21일 고호석 씨 등 11명 봉하마을 처음 찾아와 인사
영화 ‘변호인’의 소재인 부림사건 피해자 고호석 씨(56·부산 거성중학교 교사) 등 11명이 21일 경남 김해의 봉하마을에 위치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묘역을 찾아 참배했다.
사건 당사자인 고호석·설동일·송병곤·이진걸·김재규·박욱영·최준영·이호철·주정민·이상경·장상훈 씨 등은 이날 오후 3시쯤 묘역에 도착해 헌화대에 헌화를 한 뒤 묵념을 했다.
이어 고호석 씨가 대표로 말을 꺼내며 “저희에게는 전직 대통령이시기보다는 저희의 변호사이다. 그리고 미안하다. 그러나 꼭 우리가 다 함께 인사를 드려야겠다는 마음으로 여기에 모이게 됐다”고 했다. 이들이 함께 묘역을 찾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는 “민주주의가 끊임없이 위협받고 길거리에서 이뤘던 민주주의가 허물어지는데 가슴이 아프다”면서 “우리는 지켜만 보고 있지 않겠다. 우리를 믿고 편안히 잠들어 달라”고 말하며 눈시울을 붉혔다.
고 씨는 부산대 영문학과에 재학 중이던 1981년 독서 모임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경찰에 붙잡혀갔다고 회상했다. 그는 36일 동안 조사를 받으며 고문을 당했고 여전히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고 전했다.
참배를 마친 이들은 권양숙 여사도 예방해 고마운 마음을 전했다.
권 여사는 “영화에서처럼 가족들이 위협을 받아 원망도 많이 했다”며 “그러나 당시 변호를 맡으면서 노 전 대통령이 인생의 전환기도 맞아 대통령까지 됐다. 미안해할 필요 없다”고 위로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림사건은 1981년 9월 공안 당국이 부산에서 사회과학독서모임을 하던 학생과 교사, 회사원 등 22명을 영장 없이 체포해 불법 감금, 고문한 사건이다. 이들 중 19명이 기소돼 징역 1~6년형을 선고받았지만 이후 민주화 운동으로 인정받았다.
이 사건을 소재로 한 영화 ‘변호인’은 지난해 12월 19일 개봉해 관객수 1000만 명을 돌파했으며, 이 여파로 봉화마을을 찾는 방문객 수가 상당히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