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색출 혈안' 북, 탈북자 15명 남은 가족 긴급 체포


입력 2014.04.04 12:30 수정 2014.04.05 10:23        김소정 기자

<단독>양강도 혜산서 보위부 요원들 들이닥쳐

요덕 회령 등 인근 정치범수용소에 보내진듯

(사)북한민주화네트워크가 주최하고 행정안전부가 후원한 북한인권 특별전 ‘북한정치범수용소와 통영의 딸’가 개최 중이다. 사진은 탈북자들이 그린 정치범수용소의 참상.ⓒ 북한민주화네트워크

북한 양강도 혜산 지역의 탈북자 15명의 가족들이 보위부에 체포돼 정치범수용소로 끌려가는 일이 벌어졌다.

3일 양강도 소식통으로부터 긴급하게 정보를 입수한 도희윤 피랍탈북인권연대 대표는 “양강도 혜산에 거주하다 탈북한 15명의 남은 가족들이 보위부에 체포됐으며, 이들에 대한 정치범수용소행이 결정됐다”고 말했다.

북한에서 정치범수용소로 끌려가는 일은 대개 한밤중에 쥐도 새도 모르게 벌어지기 마련이고 다음날 아침에서야 주민이나 동료들에 의해 밝혀지는 것에 반해 이번처럼 사전에 지역주민들에게 통보돼 소문이 흘러나오는 경우는 드문 일이다.

도 대표는 “혜산에서 체포된 탈북자 가족들이 사전에 가택수색을 당한 것으로 전해들었다. 보위부가 미리 탈북자 명단을 입수해 가족들의 집을 뒤져서 남한에서 보내온 물건이나 단파라디오 등 증거물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사전에 주민들에게 이런 사실을 통보한 것은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려는 차원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도 대표는 또 “양강도에는 정치범수용소가 없지만 인근 지역인 회령에 정치범수용소가 있고, 평안북도 북창과 함경남도 요덕에 정치범수용소가 있다. 보위부가 정치범수용소로 끌고 간다고 말한 것으로 볼 때 탈북자 가족들이 인근 지역의 정치범수용소로 보내질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도 대표에 따르면, 김정일 집권 말기에 북한에서 탈북자 가족들을 색출해 이들을 집단 수용하는 별도의 관리소를 만들려고 추진했다가 당시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의 조사가 시작되는 등 국제사회의 움직임을 의식해 추진을 중단시킨 일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던 것이 김정은이 집권하면서 탈북자 색출에 혈안이 됐다. 탈북자를 회유해 다시 북송시키는 전략도 여러 차례 구사하는 등 지금 북한 당국이 일부 탈북자 명단을 확보하고 이를 근거로 색출 작업에 본격 나서면서 탈북을 원천봉쇄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북한 내부에 정통한 대북소식통도 ‘데일리안’에 지난해 11월22일 북한 당국이 혜산 지역에 인민무력부가 직접 탈북자 즉결 처형조를 투입하고 탈북을 돕는 브로커 수명을 체포해 처형해왔다고 전해와 이런 사실이 보도된 바 있다.

☞ 관련기사 ‘김정은, 북 혜산에 탈북자 즉결 처형조 긴급 투입’


당시 대북소식통은 “지난 10월 중순부터 함경북도 혜산시에 인민무력부 총정치국에서 즉결 처형단이 내려와 있으며, 이들은 일단 12월 중순까지 활동 기한을 정하고 대대적인 검열에 나섰다”고 전했다.

대북소식통은 “그동안 다른 지역에 비해 탈북이 용이했던 함경북도 무산의 북중 공동경비 지대에 최근 대형 인공 저수지를 조성해 이 지역을 봉쇄하기 위해 무력부 체포단을 파견했다”면서 “탈북자의 주요 경로였던 무산이 봉쇄되면서 최근 탈북자들이 혜산지역으로 몰리고 있으며 이를 파악한 북한 당국이 경로를 원천 봉쇄하기로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소정 기자 (bright@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김소정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