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이 '참고한' 김명수 자진사퇴? 지명철회?
김명수 교육부장관에 대한 박근혜 대통령의 '참고'가 지명철회나 자진 사퇴 방향으로 이어질지 11일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아울러 만약 박 대통령이 김 후보자를 포기하게 된다면 그 시기가 언제 쯤 가능할 수 있을지도 관심사다.
박 대통령은 10일 청와대에서 열린 여야 원내지도부와의 회동에서 김 후보자에 대한 야당의 지명철회 요구에 "잘 알았고 참고하겠다"고 답했다. 그전에는 자신의 뜻과 반대되는 말에는 아무런 대답을 하지 않던 박 대통령의 태도가 바뀐 것이다.
특히 세월호 참사 이후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지지율에 대한 반전과 국정 정상화를 모색하기 위한 자리에서 나온 야당의 강력한 요구라 박 대통령도 완전히 거절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정치권에서는 박 대통령도 김 후보자에 대한 비판 여론을 인식하고 야당의 의견에 일정부분 동의를 한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김 후보자에 대해서는 여당 내에서도 비판 여론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인사청문 보고서 채택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청와대에서는 아직까지 아무런 움직임도 나타나지 않고 있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보고서가 채택되지 않는 후보자에 대해서는 인사청문경과보고서를 국회에 재요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고서 채택이 불발되더라도 절차상으로 국회에 '다시 심사해 달라'는 요청을 보내겠다는 원론적인 답변만 내놨다.
이처럼 청와대에서는 별 움직임이 없지만 박 대통령이 국회와의 '소통' 정치에 첫 발을 뗀만큼 김 후보자에 대해 포기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다만 그 시기와 방법을 놓고 고민하고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 때문에 김 후보자가 자진사퇴하는 쪽으로 상황이 마무리되지 않겠느냐는 말들이 흘러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이 직접 이들을 지명철회하는 것은 스스로 인사실패를 인정하는 꼴이라는 점에서 자진사퇴에 더 무게가 실리고 있다.
실제 이날 여당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오늘 안으로 김명수 후보자가 자진 사퇴할 것으로 보인다"는 말들이 나오고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