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OECD 34개 회원국 인구구조 비교,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 속도가 지난 40여년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 가장 가팔랐던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연구원이 9일 OECD 34개 회원국의 인구구조를 비교·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고령화 인구 비중은 비교적 낮은 순위에 속했지만 증가 속도는 가장 높았다.
2013년 기준 한국의 고령인구(65세 이상) 비중은 12.2%로 30위에 머물렀지만 증가 속도는 1위를 기록했다
각국의 1970년 고령인구 비중을 1로 설정하고 2013년까지 몇 배로 증가했는지 비교할 때 한국은 4.0배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OECD 평균 1.6배와 비교할 때 두 배 이상 빠르다.
일본이 3.6배로 2위였고 다음으로 핀란드(2.1배), 포르투갈·이탈리아(2.0배), 체코·캐나다·스페인(1.9배) 등의 순이었다.
한국의 중위연령(전체 인구를 나이순으로 볼 때 정중앙에 있는 사람의 연령)은 2010년 37.9세로 1970년 19.0세보다 18.9세 늘어나 고령인구 비중 상위 10개국 가운데 증가 폭이 가장 컸다.
한국에 이어 일본 같은 기간 28.9세에서 44.7세로 15.8세 증가세를 보였다. 증가 폭 3∼5위는 캐나다(14.0세), 이탈리아(10.2세), 독일(10.0세)이었다.
한국의 유소년 인구(0∼14세) 비중(2013년 기준)은 14.7%로 26위를 차지했다. 이런 비중은 1위인 멕시코 28.4%의 절반 수준이자 OECD 평균 17.4%를 밑도는 것이다.
한국의 생산가능인구(15∼64세) 비중은 73.1%로 OECD 평균 66.6%를 웃돌며 1위에 올랐다. 이는 1950년 한국전쟁과 1970년대 베트남 전쟁 이후 태어난 베이비 붐 세대가 생산가능인구에 여전히 편입돼 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산업연구원은 "우리나라의 출산율이 OECD 주요국 중 가장 빠르게 하락하는 가운데 2012년부터 시작된 생산인구의 감소와 베이비붐 세대 은퇴시기의 도래는 미래를 불안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