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남북 간 인권대화” 제의...북 응할까
23일 뉴욕서 열린 북한인권 관련 고위급 행사에서 입장 밝혀
유엔총회에 참석 중인 윤병세 외교부장관이 남북 간 인권대화를 제의했다.
윤 장관은 23일(현지시각) 뉴욕 맨해튼 월도프 아스토리아호텔에서 미국 주도로 열린 북한인권 관련 고위급 행사에서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윤 장관은 이날 “북한이 인권 대화와 관련한 의지를 내비친 것을 환영한다”면서 “남북 간에도 인권 대화와 인도적 문제 전반에 대한 포괄적 협의가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북한은 13일 사상 처음으로 자체 인권보고서를 공개하면서 다른 나라와 인권 대화를 거부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윤 장관은 또 “북한이 진정으로 인권을 주장하고자 한다면 유엔 인권 메커니즘에 전적으로 협력하고 납북자나 국군포로,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진지하게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윤 장관은 국제사회의 요청에 부응해 북한인권사무소를 한국에 개소하기 위해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와 긴밀히 협의 중이라고 소개했다.
아울러 윤 장관은 지난 3월 유엔인권이사회가 북한인권결의안을 채택한 것을 언급하며 “유엔 총회에서도 책임 규명 방안을 포함해 보다 강화된 북한 인권 결의가 채택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북한에서 인권침해가 광범위하게 조직적으로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면서 “오늘 국제사회가 하나의 목소리로 북한 인권 개선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특히 케리 장관은 정치범수용소를 ‘사악한 제도(evil system)’라고 지적하면서 “북한은 정치범 수용소를 즉각 닫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의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도 북한인권 개선을 일본의 우선 정책순위에 놓고 계속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제시했다.
제이드 알 후세인 유엔 인권최고대표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보고서가 북한인권 문제 해결의 전환점이 됐다”고 평가하면서 “모든 유엔 회원국은 북한의 인권 침해에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북한 인권을 주제로 국제사회가 장관급 회의를 별도로 개최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날 행사에 케리 장관의 초청으로 탈북자 신동혁 씨가 참석해 북한 정치범수용소에서의 인권침해에 대해 발언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