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트진로, 해외에서도 품질경쟁력 인정받아
생산 및 유통부문 혁신과제 수행으로 품질경쟁력 강화
하이트진로가 해외에서도 품질경쟁력을 인정받으며 주목받고 있다.
30일 하이트진로에 따르면 하이트진로는 2011년 9월 선포한 경영혁신 주요 과제 중 품질혁신을 발표한 이후 생산과정, 유통과정에서의 다양한 혁신과제를 추진했으며 최근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우선 지난 4월 '이름만 빼고 다 바꾼' 뉴하이트를 출시한 후 소비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하이트진로에 따르면 수도권 업소시장에서의 뉴하이트 취급률이 급증하고 있으며 6월말 수도권 주요 상권에서의 뉴하이트 취급률은 77%로 이는 3월의 27%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특히 해외에서도 품질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올해부터 신규 진출국가의 주요 기업들과 제휴를 맺으며 현지인 시장 진출을 확대해가고 있다.
올해 초 도미니카공화국의 바르셀로그룹과 제휴를 맺고 중미 맥주시장에 본격 진출했으며 8월에는 폴란드 등 동유럽 국가에도 현지 유통업체와 손잡고 맥주를 수출하기 시작했다. 9월부터는 국내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뉴하이트를 중국시장에 수출하기 시작했다.
또 스리랑카의 주류업체와 제휴를 맺고 '진로24'를 현지 병입생산 판매하기로 했다. 하이트진로는 이외에도 일본, 미국 등 전 세계 60여개 국가에 소주와 맥주를 수출하고 있다.
하이트진로는 이 같은 성장에 대해 품질혁신이 주효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하이트진로는 품질혁신의 첫걸음으로 생산혁신을 위해 공동연구, 신기술 도입 등 꾸준한 R&D를 진행해오고 있다. 올해 1월부터 생산공정의 세계화를 위해 독일의 맥주전문 연구소인 한세베버리지(Hanse beverage)와 공동연구를 해오고 있다. 뉴하이트는 이번 공동연구의 첫 성과물이다.
2012년 상반기부터는 맥주의 신선도를 더욱 오래 유지시키기 위해 아이스 포인트 빙점여과공법(Ice Point Filtration System)과 산소차단공법(Air Blocking System)을 적용해왔다.
아울러 유통혁신을 위해 SCM혁신, 생맥주관리사, 프레시(fresh)365캠페인 등을 도입하고 있다.
하이트진로는 지난해 9월부터 수요·공급망(SCM)혁신체제를 본격 가동했으며 SCM혁신으로 불필요한 재고관리 과정을 줄여 유통기간을 앞당기는 등 유통관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하게 됐다.
생맥주 유통관리도 개선했다. 2012년 하반기부터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생맥주관리사 제도를 도입했다. 하이트진로는 이로 인해 생맥주의 품질이 한 단계 올라갔다는 평을 받고 있다.
또 매년 상·하반기에 각 1개월씩 프레시365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이 기간 동안 하이트진로 전 직원들은 소매점과 식당을 방문해 품질 유지기한이 지난 맥주를 교환해주고 맥주 관리에 대한 홍보 활동을 진행한다.
하이트진로 관계자는 "맥주의 가장 기본사항인 품질을 세계화하기 위해 오랜 기간 다양한 혁신과제를 추진해왔다"며 "최근 맥주시장에서의 반등은 그동안의 노력을 고객들이 인정하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변하지 않는 맥주의 맛과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이트진로의 품질혁신은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