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여야, 장관 청문회서 오룡호 대응 미숙 두고 질타 쏟아져


입력 2014.12.04 20:08 수정 2014.12.04 20:14        문대현 기자

<인사청문회>박인용 “신속하게 대응하겠다” 원론적인 답변만

박인용 국민안전처 장관 후보자가 4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굳은 표정으로 의원들의 질의를 듣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4일 박인용 초대 국민안전처 장관 후보자의 국회 인사 청문회에서 지난 1일 발생한 ‘501 오룡호’ 침몰 사고의 미숙한 대응에 대한 여야 의원들의 추궁이 이어졌다.

박인숙 새누리당 의원은 “오룡호 침몰 사고 이후 대응하는 과정에서 외교부와 해양수산부, 국민안전처가 들어가 있다”면서 “세 부서가 모여 혼란스러운 가운데 이것의 중심을 잡을 부처가 국민안전처가 돼야한다”라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총체적으로 봤을 때 이번에 장관으로 취임하게 되면 국민안전처가 안전 사고 수습에 있어서 컨트롤타워의 역할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이철우 의원도 “국민안전처가 만들어지면 국민들이 정말 안전하게 살 수 있도록 사고 유형별로 전문가가 필요하다”면서 “오룡호 사건도 러시아에 요청할 게 아니라 우리 전문가가 갔어야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박 후보자가 “해양경비안전본부 소속 경비함 5001함이 동해에서 출동을 나가기로 했다”고 답하자 이 의원은 “배를 타고 가서 어쩌겠단 말인가. 비행기를 타고 가서 구조해야지”라고 받아쳤다.

그는 이어 “박 후보자가 장관에 임명되면 탁상행정을 하지 말고 행동으로 옮겨 세계에서 가장 유능한 전문가를 육성해야한다”면서 “국민들의 입에서 ‘박인용이 장관 되니까 어떤 것도 안전하게 대처 되는구나’라는 말이 나오게 해야한다”라고 강조했다.

김장실 의원 역시 “국민안전처는 세월호 참사 이후 사고에 대해 제대로 된 역할을 부탁하는 의미에서 출범했다”면서도 “오룡호 사고를 보니 과연 컨트롤타워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까하는 걱정이 앞선다”라고 우려했다.

김 의원은 “사고를 접수 받은 시각은 2시 6분인데 긴급구조 요청에는 34분이 걸렸고, 사고대책본부는 3시간이 지난 뒤 해양수산부에서 만들어졌다”면서 “해외 재난은 외교부하고 해수부가 맡아서 하도록 돼 있는 바람에 국민안전처는 상황전파하는 역할 밖에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법적이고 범법적인 것을 척결해줘야 한다”면서 “국민 안전을 위협하는 것이 있으면 대대적인 조사를 통해 고치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야당 의원들도 가만히 있지 않았다. 유대운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오룡호 침몰 후 신속하게 구조요청을 했어야 하지만 늦어졌다”면서 “훈련만 하면 뭐하나. 재난법상 해수부가 해양사고의 수습을 맡게 돼 있어서 국민안전처가 대응할 수 없는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 의원은 “군 출신의 박 후보자가 안전에 관한 업무 파악이 전혀 안 돼 국가안전처인지 국가안보처인지 걱정”이라면서 “경청만 하지 말고 제대로 준비해서 답변을 하라”고 소리쳤다.

같은 당 주승용 의원도 “오룡호 사건은 원양어선 역사상 최고의 사고”라며 “왜 해양에서 계속 참사가 나는지, 국제적 망신이라 본다”고 열을 올렸다.

주 의원은 “원양어선은 해수부 담당이고 모든 국외 사고는 외교부 담당”이라면서 “그럼에도 국민안전처가 한 일은 사고 소식을 접한 지 40분 후에 러시아에 구조요청하고 러시아에 소속공무원을 파견하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사고가 난지 8시간이 지나 지난 밤 10시에나 정부합동대책회의를 열었는데 이게 제대로 된 역할인가”라며 “물론 국민안전처가 신설된 부처라 잘 모른다 해도 과거 해경에서 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있는 것. 이건 컨트롤타워가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새정치연합 소속 강창일 의원 역시 “해외에 배를 타고 가면 우리 국민이 아니냐”면서 “컨트롤타워를 만들기 위해 그렇게 요란스럽게 국민안전처를 만들어 총리실로 넣었는데 도대체 이게 뭐냐”고 분통을 터뜨렸다.

강 의원은 “8시간이나 지나서 회의하고 안전처와 총리실은 외교부에 맡기고 빠질거면 안전처를 왜 만들었나”면서 “컨트롤타워 역할을 위해 만든 건데 나서서 수습을 했었어야 하는 것 아니냐”며 강하게 발언했다.

그러면서 “오룡호가 36년 된 낡은 배라는데 그 사이에 법을 고치든지 해야지, 세월호 때는 7시간을 허비했다더니 이번에는 1시간 더 늘어났다”며 “이게 나라인가? 어떻게 이 정부에 안전을 맡길 수 있나. 후보자가 봐도 한심하지 않은가”라며 정부를 겨냥했다.

계속되는 의원들의 질타에 박 후보자는 “보완할 점이 많다”, “제대로 바로잡겠다”, “인재 양성에 대해 신경 쓰겠다”, “신속하게 대응하겠다” 등 원론적인 답변만 늘어놓을 뿐 뚜렷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했다.

문대현 기자 (eggod611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문대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