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한·아세안 협력 행동계획 마련하자" 제안
박근혜 대통령은 12일 한국과 아세안이 경제ㆍ안보ㆍ문화 등 3대 분야에서 협력을 심화하는 내용을 담은 '2016∼2020 행동계획'을 마련하자고 아세안 10개 회원국에 제안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한ㆍ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세션1을 주재하며 "우리는 이제 25년간 쌓아온 협력의 양적 확대를 바탕으로 더욱 내실 있는 협력으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업그레이드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특히 "한국 정부는 '신뢰 구축, 행복 구현'의 비전 실현을 위해 아세안의 중심성을 존중하면서, 경제 분야에서는 '공동 번영의 파트너'로, 정치안보 분야에서는 '역내 평화의 견인차'로, 사회문화 분야에서는 '문화 융성의 동반자'로 공동의 노력을 펼쳐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그러면서 "이번 특별정상회의를 계기로 더욱 포괄적인 후속 2016∼2020 행동계획을 아세안과 함께 마련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내년 말 출범 예정인 '아세안 공동체'와 윈윈(win-win)하는 경제협력 관계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박 대통령은 "한국은 아세안과 공동 번영을 위해 경제적으로 균형 잡힌 상호 호혜적 관계를 구축할 것"이라며 "이번에 양측이 무역원활화 등에 합의해 한ㆍ아세안 자유무역협정(FTA) 활용을 보다 강화시킨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정상회의를 기폭제로 삼아 2020년까지 2000억불 교역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조속히 추가 자유화 협상도 진행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박 대통령은 아세안 국가 간 개발격차 해소를 위해 한국의 개발경험을 나누겠다는 계획도 알렸다. 이를 위해 새마을운동을 확산하고 과학기술분야 인재 양성을 지원하는 한편 한ㆍ아세안 협력기금 규모를 현재 500만달러 수준에서 내년 700만달러로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박 대통령은 "한ㆍ아세안 관계의 비약적 발전을 이끈 힘은 역사적 경험의 공유에서 비롯된 상호 이해에서 나왔다고 생각한다"며 "한국은 국제사회의 지원으로 빈곤을 극복하고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룩한 소중한 경험을 공유하며 아세안과 공동의 발전을 이뤄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내년 1월1일부터 복수비자 발급 대상 확대 및 유효기간 연장 등 동남아 국민의 한국 입국비자를 간소화하고 아센의 차세대 여론 주도층을 많이 초대해 미래 리더들간 교류도 확대할 것을 천명했다.
특히 내년 말 '아센공동체' 출범을 앞두고 역내 국가간 격차 해소를 위해 △새마을 석사과정 초청 연수, 지구촌 새마을운동 사업으로 아센 농촌 빈곤 퇴치 기여 △아센의 과학·기술분야 미래인재 양성 지원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한·아센 협력기금 (500만달러→2015년 700만달러)확대 △한·메콩 협력기금(80만달러→2015년 100만달러) 확대를 통한 아센 공동체 건설 기여 △우리의 전자정부시스템 구축과 공공행정 서비스 개선 경험 공유 △아센사무국의 IT(정보기술) 인프라 업그레이드 지원 등을 적극 지원의사를 밝혔다.
아울러 한반도의 긴장완화 및 평화정착은 아세안에게도 중요한 문제라며 아세안이 북한의 핵실험 등 도발 중단과 유엔안보리 결의 등 국제의무 준수를 촉구하는 일관된 메시지를 보내온 점을 평가혹 앞으로도 아세안의 지속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