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진상파악 착수 등 분주
청와대는 14일 '정윤회 동향보고서' 문건 유출자로 지목되자 자살한 최모 경위가 유서에서 민정수석실의 회유가 있었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 전면 부인했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한 모 경위를 민정수석비서관실의 그 어느 누구도 접촉한 사실이 없고 따라서 제안도 없었다"고 밝혔다.
민 대변인은 또 "한 경위에 대해서도 구속 영장이 청구됐고, 한 언론보도를 보면 한 경위가 영장실질심사에서 그런 일이 없었다고 담당 판사에게 밝힌 것으로 돼 있다"고 덧붙였다.
숨진 채 발견된 최 경위의 유가족들이 이날 공개한 유서에서 최 경위는 한 경위에게 "민정비서관실에서 너에게 그런 제의가 들어오면 흔들리는 것은 나도 마찬가지일 것"이라며 민정비서관실에서 한 경위에게 회유를 시도했다는 것을 시사했다.
특히 청와대는 이날 오후 유가족측이 민정비서관실에서 회유가 있었음을 시사하는 내용의 유서내용이 발견됨에 따라 곧바로 진상파악에 착수하는 등 분주한 모습을 보였다.
한편 최 경위는 유서를 통해 "'국정 논란'은 저와 상관 없고 단지 세계일보 조모 기자로 인해 이런 힘든 지경에 오게 됐고 조선일보 김모 기자는 제가 좋아했던 기자인데 조선일보에서 저를 문건 유출의 주범으로 몰고가 너무 힘들게 됐다"고 토로했다.
다만 "정보관으로 활동하면서 많은 사람들을 접했지만 그 중 진정성 있던 아이들은 세계일보 조 기자와 조선일보 김 기자였다"고 밝히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