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박 대통령 신년기자회견, 사과후 대대적 인적개편?


입력 2015.01.11 17:29 수정 2015.01.12 15:12        조성완 기자

신년기자회견 하루 앞둔 청와대 기류 변화 감지

유감표명 뒤 원론적 답변 혹은 대대적 개편 '촉각'

지난해 1월 6일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 춘추관에서 취임 후 첫 신년 내외신 기자회견을 갖고 집권 2년차 국정운영 구상을 발표하고 있다.(자료 사진) ⓒ연합뉴스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항명 사태’로 청와대 공직기강에 대한 비판여론이 거세지는 가운데, 하루 앞으로 다가온 박근혜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이 인적쇄신론으로 이어질지에 대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오는 12일 취임 후 두 번째 신년 기자회견을 갖고 집권 3년차 국정운영에 대한 구상을 밝힐 예정이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1시간30분가량 진행되며, 생방송으로 전국에 중계된다.

박 대통령의 신년 구상은 취임 후 첫 기자회견에서 국정 어젠다로 정한 경제혁신 3개년 계획과 분단 70주년을 맞아 남북관계 개선에 초점이 맞춰질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최근 불거진 국정난맥상과 관련해 쏟아지는 ‘인적쇄신 요구’에 어떤 답을 내놓을지가 최대 관전 포인트다.

이른바 ‘정윤회 문건’ 유출로 시작된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은 지난해 말 정국을 강타했다. 특히 해당 의혹에 청와대 비서실장은 물론 박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비서관 3인방까지 거론되면서 여권 내에서조차 대규모 인적쇄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까지만 해도 청와대 내부에서는 박 대통령이 국면전환용 인사에 부정적이기 때문에 신년 기자회견에서 인적쇄신과 관련한 구체적인 언급은 나오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여기에 박 대통령이 문건 파동 논란에 휩싸인 비서관 3인에 대해 “일개 내 비서관이고 심부름꾼일 뿐”이라고 선을 그은데 이어 검찰 수사에서도 이들을 둘러싼 의혹에 대해 ‘사실무근’으로 판명난 것도 이 같은 전망에 한몫을 했다.

하지만 지난 9일 여야 간사가 합의했고,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이 국회 운영위원회 출석을 지시했음에도 이를 거부한 채 사의를 표명한 김 수석의 항명사태로 인적쇄신 요구는 더욱 거세지고 있다.

더구나 임명 초기부터 야권의 공세에 시달려온 김기춘 비서실장이 인적쇄신의 핵심으로 떠오른 것도 박 대통령 입장에서는 압박으로 다가오고 있다.

김 비서실장은 지난 1일 신년 시무식에서 기강확립을 강조하며 재신임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번 항명사태를 계기로 여권에서조차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는 비판을 받으면서 조직 장악력에 물음표가 붙은 상황이다.

박 대통령이 사전에 준비한 신년구상에서는 인적쇄신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더라도 기자들과의 질의응답 과정에서는 어떤 형태로든, 어느 정도의 입장 표명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를 반영하듯 청와대 내부에서도 신년 기자회견을 앞두고 기류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회견 준비의 주무부서인 홍보수석실은 지난 10일 비서관 이상 참모가 모두 출근한 가운데 긴급회의를 갖고 기자회견의 전체적인 시나리오를 조율하면서 인적쇄신에 대한 예상질문과 답변 마련 등 대응책을 숙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이 내각뿐만 아니라 청와대 비서진 등을 포함한 대대적인 개편 방안을 내놓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공직사회 전반의 분위기를 일신하고, 무너진 청와대 공직기강을 바로 세워 집권 3년차 국정 운영에 더욱 속도를 내기 위한 선택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박 대통령이 국정 최고책임자로서 사과 혹은 유감표명을 한 뒤 향후 인적개편과 청와대 내부 시스템 정비 등을 약속하는 등 원론적인 수준의 답변을 내놓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청와대 참모진 개편이나 개각 등은 많은 인적수요를 발생시킨다. 또다시 인사문제가 터질 경우 최악의 상황까지 치달을 수 있기 때문에 제대로 된 인사검증은 필수다. 하지만 시간이 촉박한 상황이기 때문에 즉각적인 인적개편은 물리적으로 힘들 수 있다는 주장이다.

조성완 기자 (csw44@naver.com)
기사 모아 보기 >
0
0
조성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