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개편, 비서관 3인방은 어디로?
1.2부속실 통합에 3인방 역할조정 불가피vs대통령의 무한신뢰 쉽지 않아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 조직 개편과 개각을 서두르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지난해 '청와대 문건' 파동에서 거론된 '비서관 3인방'의 거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여권에서는 1, 2 부속비서관실 통합 등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이들 3인방의 역할조정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박 대통령의 신뢰가 여전하다는 점에서 일각에서는 뚜껑을 열어봐야 안다는 목소리도 높다. 3인방에 대한 박 대통령의 신뢰를 생각할 때 이들에 대한 역할조정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21일 정치권에 따르면 전날 진행된 국무회의에서 박 대통령이 청와대 조직개편과 개각에 대한 의지를 천명하면서 인적쇄신이 가시권에 들어왔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지금 공석으로 있는 해양수산부 장관 등 꼭 필요한 소폭 개각을 통해서 새롭게 출발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며 "청와대 조직도 일부 개편을 통해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심기일전해 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정치권에서는 당초 쇄신안 발표가 다음달 설 직전에 발표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직접 '이른 시일 내'라고 언급하면서 빠르면 다음주에 쇄신안이 발표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같은 전망이 나오면서 자연스럽게 세간의 관심은 이재만 총무비서관과 정호성, 안봉근 부속비서관 등 일명 '비서관 3인방'의 거취에 쏠리고 있다. 이번 청와대 조직개편에서 이들의 거취가 어떻게 변하느냐에 따라 향후 국정운영에 대한 박 대통령의 의지를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박 대통령의 언급대로 개각은 소폭으로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지만 청와대 조직개편은 큰 폭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조직개편을 큰 폭으로 진행해 향후 국정운영의 동력을 회복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여권내에서는 청와대가 3인방의 업무조정을 통해 이들에게 쏟아지는 여론의 비판을 수용한다는 복안을 갖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적어도 이 비서관과 안 비서관은 업무조정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1, 2 부속실 통합 방안도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이 지난 12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이들에 대해 "교체할 이유가 없다"고 못박은 이후 지지율이 취임 후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청와대도 이를 수용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당장 이들을 내치지는 못하겠지만 업무조정을 통해서라도 대통령의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는 판단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이 이들에 대한 무한 신뢰를 보내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의 업무조정이 쉽게 이뤄지기는 힘들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 기자회견뿐 아니라 여러 회의에서도 이들에 대한 무한한 신뢰를 보였다. 3인방은 박 대통령이 정치에 입문하는 순간부터 지금까지 곁을 지키고 있는 사람들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