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 경기도지사는 22일 최근 사회적 논란이 되고 있는 어린이집 폭행사건의 대응책으로 논의되는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 방안과 관련해 “어린이집마다 운영위원회가 있는데, 거기서 결정해서 (CCTV설치를) 지원하는 경우에 한해서만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남 지사는 이날 CBS라디오 ‘박재홍의 뉴스쇼’에 출연해 ‘CCTV가 학부모들에게는 좋을 수 있겠지만 일거수일투족이 완전히 노출돼 보육교사들에게는 심각한 인권침해가 될 수 있다는 논란도 있다’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그는 “어린이집 CCTV나 라이브앱이 설치된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의 서비스 만족도를 아마 부모님들이 많이 느낄 것”이라며 “그렇게 되면 부모님들이 굉장한 선택권을 갖고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런 것들이 시장 원리에 작동을 해 ‘나는 그래도 불편하니까 우리는 안 한다’라는 어린이집이 있을 수 있고, ‘조금 불편하지만 감수하고 일단 부모님들께 애들에게 이런 서비스를 제공해서 우리는 더 많은 원아에게 신청을 받아 신뢰를 주겠다’라고 하는 어린이집이 있을 것”이라며 “그것은 선택의 문제”라고 설명했다.
남 지사는 “어린이집의 CCTV 설치 문제는 신뢰의 문제”라며 “지금 신뢰가 완전히 붕괴돼 있기 때문에 CCTV 설치비를 지원하면서 한 5년, 10년쯤 있다가 오히려 CCTV가 필요 없다고 하는 신뢰가 쌓이기를 기대하면서 지원을 해 드릴 생각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오전 9시전 조기 등교로 경기교육청과 갈등을 빚고 있는 것에 대해 “부모님들이 맞벌이라 아이들을 먼저 데려다주고 출근하려면 8시쯤 나와야 되는 아이들이 상당수 있다”며 “어쩔 수 없이 일찍 등교해야 하는 맞벌이 부부에 대한 배려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남 지사는 “나는 0교시 수업을 부활하겠다는 생각도 없고, 그것은 권한 밖의 일이다. 이 문제를 내 정책, 교육 쪽의 정책으로 (구분해서) 판단한 일이 아니다”라며 “배려의 관점에서 보면 ‘정책이 무너진다’라고 판단할 일이 아니고 학생들, 부모님들이 무엇을 요구하는지를 잘 보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오전 9시 등교가 무너질 수 있다는 학교 측의 우려에 대해서는 “부모님들한테 상당한 선택권이 필요하다고 본다”면서 “(오전 9시 등교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가) 팽팽하기 때문에 그것 때문에 근본적으로 0교시 수업을 안 하는 9시 등교의 원칙이 무너진다고 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것이야말로 그냥 원하는 분들에 한해서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하면 다양성 측면에서 훨씬 좋은 것 아닌가”라며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이 지금 꿈의 교실을 지양하고 있는데 꿈의 교실을 9시 이전에 하는 것과 방과 후에 하는 것, 이렇게 두가지로 다양화해서 실천을 하면 될 것 같다”고 주장했다.
남 지사는 ‘프로그램이 너무 좋아 수요가 계속 늘어나면 결국 확대할 수밖에 없는 않은가’라는 질문에는 “그것을 걱정하는 게 더 우스운 게 아닌가. 너무 좋은 걸 안 하는 게 좋은 것인가”라고 반문한 뒤 “(기존의) 정책이 무너지니까 너무 좋은 정책이 들어오면 안 된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남 지사는 박근혜 대통령이 민심과 달리 소폭 개각만 하려는 데 대해 구체적인 답변은 아끼면서도 “우리 중앙정치에서 잘 좀 해줬으면 좋겠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그는 박 대통령의 지지율 폭락 원인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나는 비판을 받는 자리에 선만큼 특별히 할 말은 없지만 경기도정의 경우에 우리는 몇 가지 원칙을 정하고 있다”며 자신의 경험에 빗대 국민 중심의 정책을 펴 줄 것을 당부했다.
남 지사는 “첫 번째 수요자 중심의 도정을 하자. (어린이집 CCTV의 경우) 어린이 입장에서 무엇이 제일 좋은가. 이게 1번”이라면서 “두 번째는 이런 수요자 중심의 정책을 펴면서 과학적인 분석에 기반을 둔 정책, 이런 것들이 정치 전반에 펼쳐지면 좋은 평가를 받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