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등 연구팀 발표
우리나라 25~29세 여성의 출산율 급락의 주 원인은 25세에서 29세 여성의 출산율 급락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삼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등 연구팀은 24일 ‘초저출산현상 지속의 원인과 정책과제’란 연구보고서르 통해 초저출산 진입에는 25~29세 여성의 출산율 급락이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인구학적 기법과 문헌 고찰, 외국 사례 분석 등의 방법으로 초저출산 현상 진입 전부터 현재까지를 1992~1997년, 1997~2005년, 2005~2013년 등 3개 시기로 나눠 인구학적, 사회경제학적 원인을 분석했다.
그 결과 배우자가 있는 여성의 비율인 ‘유배우율’이 가임기 여성의 모든 연령층에서 지속적으로 줄었는데 특히 25~29세 유배우율은 2013년 현재 25%로 떨어졌다.
이는 1992년과 비교할 때 3분의 1수준이다. 여기에 2013년 현재 30~34세 유배우율도 63.8%로 낮아졌고, 50% 이하로 추락할 가능성도 크다.
이에 따라 25~29세 출산율은 30~34세 출산율보다 낮고, 30~34세 출산율 증가 폭도 크지 않아 저출산 탈피를 어렵게 하고 있다.
연구팀은 “초저출산을 벗어나려면 25~29세와 30~34세 연령층의 유배우율을 높이거나 적어도 감소하지 못하게 해 배우자 있는 여성의 출산율을 끌어올리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우리나라는 저출산고령사회 정책을 추진해왔지만 인구 대체수준인 2.1명에도 못 미치는 저출산 현상을 30여 년 간 겪고 있으며, 2001년 이후로는 합계출산율이 1.3 미만으로 낮아지는 초저출산현상이 지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