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이번엔 군가 개사? 국방부 '뻘짓 퍼레이드'


입력 2015.01.27 20:27 수정 2015.01.27 20:33        문대현 기자

여군 증가 추세에 군가 가사 바꾸기로 한 국방부

비난 여론 들끓는 가운데 정치권에서도 갑론을박

지난해 8월 25일 오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육군회관에서 군 사법제도 개혁과 군사 옴부즈맨 도입 등 군개혁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열린 민관군 병영문화혁신위원회에서 한민구 국방부 장관, 김요환 육군 참모총장과 심대평 민관군 병영문화혁신위원회 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고 있다. (자료사진)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27일 국방부는 양성평등 차원에서 새로 제작되는 군가에 ‘사나이’등의 단어를 제외시킨다고 밝혔지만 핵심을 짚지 못하는 군 당국의 대안에 여론은 싸늘하기만 하다.

이날 오전 일부 매체는 국방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여군 비중이 확대되는 현실에 육·해·공군 및 해병대 군가에서 ‘사나이’나 ‘남아’, ‘아들’과 같은 남성만을 지칭하는 단어 사용을 금지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다문화가정이 늘어나는 추세에 따라 장병 교육용 교재에 ‘민족’, ‘겨레’ 등의 표현도 ‘국가’로 바꾸기로 했다.

이는 군 안팎에서 그동안 군가에 자주 등장하는 ‘사나이’, ‘아들’, ‘민족’과 같은 표현들을 여군도 함께 부를 수 있는 방향으로 바꿔야 한다는 여론이 제기돼 온 데 따른 조치다.

이에 따라 기존에 널리 불리고 있는 군가는 물론 새로 생기는 군가에 대해서도 양성평등을 고려해 해당 단어의 사용이 사라질 전망이다.

그러나 이러한 안에 대한 여론은 싸늘하다. 네티즌들은 사병으로 복무하는 여성이 없다는 것을 지적하며 전혀 와닿지 않는 조치라고 비판했다.

네이버 아이디 ‘awds****’는 “애초에 징병 적용 되는 것이 남자뿐이니 사나이, 남아 등의 단어가 군가에 많이 들어가는 것”이라며 “이게 성차별이면 여성에게도 징병제 적용해야 한다. 진짜 한심해서 말이 안 나온다”라고 날을 세웠다.

네티즌 ‘dhdi****’도 “남성만 지칭하는 단어라서 성차별을 느낀다고? 지금까지 남성들이 의무로 군생활을 해서 남자들이 느꼈던 성차별은 뭐가 되는 것인가”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carp****’도 “남성들이 아무런 죄도 없이 2년 동안 복무하는 그 곳에는 비자발적으로 끌려온 여자는 단 한 명도 없더라. 물론 귀화한 베트남 사람도 없었다”면서 “근데 군가가 맘에 안 든다고 단어 지적질을 하나?”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와 같이 비난 여론이 점점 거세지자 국방부 측은 뒤늦게 불끄기에 나섰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여군 비중이 확대되고 다문화가정도 늘어나는 현실을 고려해 군가관계자들과 지난 21일 회의한 결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군가에 대해 가사를 고치지 않기로 했다”고 해명했다.

김 대변인은 또 “현재 쓰이는 군가에 대해 여군들도 ‘사나이’라는 표현이 괜찮다고 해서 고치지 않되 앞으로 만드는 군가에 대해서는 양성평등과 장병 선호도 등을 고려해 ‘사나이’ 표현 사용 여부를 검토하기로 했다”면서도 “결정된 것은 없다”도 수습했다.

이어 “장병 교육 교재에 ‘민족’이라는 단어를 사용치 않는 것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았다”고 물러섰다.

이같은 해명에도 군을 향한 비판은 끊이지 않고 있다. 군은 국민의 신뢰를 기반으로 조국을 수호하는 것이 존재의 목적이지만 국민 여론에 부합하지 않는 대안으로 지적을 받는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8월, 김요환 육군참모총장은 병영 사고를 막기 위해 “입대 동기생 분·소대를 확대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는 군 지휘체계가 문란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논란을 야기했고 국민들의 많은 반대에 부딪혔다.

군은 이후 각 부대의 생활관마다 수신용 휴대전화를 보급해 병사들이 자유롭게 외부와 소통을 할 수 있게 하겠다며 또 다른 병영혁신안을 내놓았다. 하지만 이 또한 먼저 입대한 병사들이 휴대전화를 갖고 있을 경우 후임병들이 그들에게 휴대전화를 받아쓰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현실 여론에 비판을 면치 못했다.

또한 병영문화 개선안으로 병사의 계급을 없애고 ‘용사’로 일원화하는 방안도 거론된 바 있다. 이 같은 군 당국의 주먹구구식 대책에 여론은 싸늘하다. 이럴 때마다 국민들은 군 수뇌부가 진정한 병영사고의 원인이 무엇인지 모르고 엉뚱한 데서 답을 찾으려 한다며 비판했다.

정치권 "그것은 코미디...기존의 군가 가사 바꾸는 것은 고민해봐야 할 문제"

이렇듯 국민들이 쉽게 납득하지 못하는 대안들이 계속 공개되자 일반 국민 뿐 아니라 정치권에서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한 의원은 “코미디라고 생각한다”며 직설했다. 여당 소속의 그는 “어차피 군 복무는 남자가 하는 것이고 여자들은 같이 참여해주는 보조적 역할”이라며 “군가에서 가장 중요한 임팩트가 들어갈 수 있는 용어들을 빼자는 게 어떤 발상인지 모르겠다”고 밝혔다.

그는 “앞으로 20, 30년 후 상황이 변화하면 어떻게 될 지 모르겠지만 지금 단계에서는 그렇게 까지 예민할 필요는 없다”라고 말했다.

같은 상임위 소속 다른 의원도 “군가는 과거의 전통이고 역사인데 가사를 바꾼다는 것은 그것을 부정하는 일”이라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그는 “앞으로 상황에 맞게 다문화 가정 자녀나 여군이 점점 들어난다면 새롭게 탄생하는 군가에서는 변화를 해도 좋을 것 같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국방위 소속 야당의 한 의원도 “신규로 바꾸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보는데 기존에 있는 것을 바꾼다는 것은 생각을 해봐야 한다”고 조심스러워 했다.

그는 군가에서 남성을 지칭하는 용어를 빼는 것에 대해서는 “군복무를 남성만 하는 것이 아니니까 남자를 꼭 지칭해서 써야할 필요는 없다”면서도 “그렇지만 있는 군가에서 그 단어를 뺀다는 것은 다른 문제”라고 밝혔다.

‘겨레’, ‘민족’ 등의 용어 사용 금지에 대해서는 “다문화 가정 자녀도 원칙적으로는 대한민국의 국적을 갖고 있으니까 단순하게 민족의 이질성을 이야기 하는 것은 고민해봐야 한다”며 “그 단어를 바꾸는 행위자체가 다문화 가정을 더 다르게 본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일 수도 있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국방부 안에 찬성하는 입장을 보인 의원도 있었다. 야당의 한 의원은 “일리가 있다. 군대가 꼭 남자만 가는게 아니고 여군들이 차츰 증가하는 추세”라며 “군가에 온통 ‘사나이’라고만 하는것 여군들 입장에서 보면 부적절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고 옹호했다.

소수의 의견이라는 지적에는 “소수라도 우리나라의 일원이라면 합당하게 대우 할 필요가 있고 큰 문제가 아닌데 구태여 고집함으로서 그들의 불만을 증폭 시킬 필요가 없다”면서 “무엇보다도 전투력은 통합성과 단결력에서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문대현 기자 (eggod611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문대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