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박심? 일부 친박계가 청와대 팔고 있다"
라디오 출연 "박 대통령, 경선에 개입할 이유 없어"
유승민 새누리당 의원은 28일 차기 원내대표 경선을 둘러싸고 어김없이 제기된 박근혜 대통령의 의중, 이른바 ‘박심(朴心)’ 논란에 대해 “친박의 핵심이라고 자처하는 일부 분들이 청와대를 팔아서 그런 징후들이 좀 보이고 있다”고 질타했다.
원내대표 출마를 선언한 유 의원은 이날 SBS라디오 ‘한수진의 SBS전망대’에 출연해 “나는 대통령께서는 이번 원내대표 경선에 정말 엄청 중립을 지킬 것이라고 확신을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그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분명하게 생각한다. 이번 선거의 박심 논란은 있어서도 안 되고, 있을 수도 없다고 생각한다”며 “일부 그런 분들이 하는 이야기이지, 대통령이 이번 원내대표 경선에 개입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내가 원내대표가 돼도 정말 대통령이 성공할 수 있도록, 잘 할 수 있도록 협조를 할 게 분명하니까 대통령이 이번 경선에 뭔가 개입을 하고, 영향력이 있고, 그런 일은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유 의원은 이번 경선이 지역-계파 구도로 진행되는 것에 대해서도 “찬성할 수 없다”며 “내가 새누리당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대구 출신이지만 스스로는 지금까지 정치를 15년 동안 하면서 수도권 민심에 늘 민감하게 생각하고 그것을 정책에 반영하려고 노력을 해 왔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것을 뭐 부산·경남(PK), 대구·경북(TK) 이렇게 소지역으로 이야기할 필요도 없고, 또 나보고 자꾸 탈박이라고 그러는데 나만큼 박근혜 대통령이 정말 훌륭하게 잘 하도록 사심없이 바라는 사람도 없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유 의원은 전날 출마선언에서 강조한 ‘당헌 제8조의 당과 대통령의 관계’에 대해 “당헌 8조는 당과 대통령의 관계를 ‘대통령은 당의 정책을 존중하고, 당은 대통령을 뒷받침해서 둘이 함께 국민한테 책임을 지고 당과 정부가 협조 관계를 긴밀하게 해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며 “나는 그동안 당이 대통령, 청와대, 정부 등이 하는 일에 너무 그냥 단순히 끌려다니기만 했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그는 “나는 당을 정치의 중심에 놓고, 국정 운영의 중심에 놓고 청와대와 정부가 잘하는 일은 당연히 적극 도와주는 집권여당이지만, 잘못하는 일에 대해서는 이제는 목소리도 내고 더 나은 대안도 제시하는 그런 당정관계를 한번 만들어보겠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유 의원은 특히 “나는 당과 대통령은 공동운명체라고 생각을 하는데 지금 국회 임기는 1년이 남았고, 대통령 임기는 3년이 남았다”며 “내년 총선에서 우리들이 이기지 못하면 대통령이 성공한 대통령이 되기 위해서 일을 잘 해보려고 해도 그것을 뒷받침할 힘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부터 총선까지 1년 동안은 당이 중심이 돼 오히려 청와대, 정부를 선도해가면서 당이 국민들, 특히 정말 어렵게 사는 국민들에게 진정성 있게 정책으로 다가서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으면 어렵다”며 “이제는 당이 중심이 되고 당이 하는 정책이 좋은 정책이면 대통령과 정부가 좀 뒷받침을 해 달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청와대 인적쇄신, 박 대통령 억울하겠지만 국민 이기는 정치 없다”
아울러 유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 ‘박재홍의 뉴스쇼’에 출연해서는 청와대 인적쇄신에 대한 비판 여론과 관련해 “문건 파동이라는 문제는 박 대통령이 좀 억울하겠다는 생각이 든다”면서도 “그러나 국민들이 바라보는 눈이 분명히 있고, 어떤 정치든 국민에게 이기는 정치는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통령이 정말 억울해도 이 문제는 좀 초연하게 겸허하게 받아들이는 게 좋겠다”며 “청와대 인적쇄신안에 대해 나의 평가는 유보하겠지만 국민들은 여전히 좋은 평가를 못 내리고 있다는 것을 우리들이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고 당부했다.
적용범위를 두고 정치권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김영란법’에 대해서는 “적용 범위가 우리 같은 정치인들, 또 공직자들, 공기업이나 정부산하단체, 이런 넓은 의미의 공공부문에 대한 부패를 근절하기 위해서 하는 건 더 엄격하게 해도 좋다”고 주장했다.
유 의원은 다만 “이것을 정말 공직의 부패와는 크게 상관없는 분들까지 너무 넓게 적용을 하면 과연 이 법이 현실성이 있겠는가라는 비판이 있다”며 “그런 부분에 대해 우리 당에서 담당하고 계신 의원들과 충분히 상의를 해 국민들에게 이 법이 약간 수정이 돼 통과가 된다면 왜 수정이 됐는지 그것을 충분히 설명을 드리고 그렇게 통과를 시키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경쟁상대인 이주영 의원이 ‘언론 중 KBS와 EBS는 포함시키자’라고 주장한 것에 대해서는 “KBS와 EBS만 넣어서 될 문제는 아니다”라며 “경계선을 어디에서 지울 것인가라는 큰 원칙을 결정해야 되고 거기에서 언론이 어디에 위치하는가를 보면 된다”고 반대의사를 표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