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하나외환 통합 갈등 '아스팔트vs법원'


입력 2015.02.27 18:25 수정 2015.02.27 18:30        이충재 기자

노사 '김빼기' 경쟁…사측 '이의신청' 노조 '강경투쟁' 시사

서울시 종로구 외환은행 본사 모습(자료사진) ⓒ연합뉴스

하나‧외환은행의 조기통합작업이 중단된 뒤 노사 갈등이 극한으로 치닫고 있다. 노사 모두 표면적으론 “대화를 이어가겠다”고 하지만, 이면에선 심장을 겨눈 회심의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법원의 제동으로 오는 6월까지 통합 작업이 중단된 상황에서 대화와 협상 보다 힘겨루기 싸움으로 변질 될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김정태 '이의신청 카드' 만지작

우선 하나금융은 김정태 회장의 연임으로 통합과 관련한 강공모드를 유지했다.

특히 김 회장은 법원의 통합 중단 결정에 이의신청을 검토하고 있다. 김 회장은 사석과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법원의 가처분 결정에 이의신청을 제기하겠다”는 뜻을 밝혀왔다.

하나금융은 외환은행의 ‘실적부진’ 등을 근거로 조만간 법원에 이의신청을 낼 예정이다. 실제 외환은행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3651억원에 불과해 전년(4443억원) 대비 17.8%p 감소했다.

하나금융은 법원이 2017년까지 합병을 하지 않기로 한 2.17합의서의 구속력을 인정하면서도 ‘현저한 변화가 있다면 합의를 바꿀 수 있다’는 의견을 낸 것에 주목하고 있다.

김 회장이 최근 공식석상에서 “금융 산업은 선제적으로 위기에 대응하지 않으면 생존을 위협받을 수 있다”, “외환은행이 부산은행에 역전당할 가능성이 높다”, “직원들이 스스로 시급성을 느껴야 한다”는 등 ‘위기론’을 설파하는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다.

아울러 하나금융은 기존의 태평양과 김앤장 등 대형 로펌에 자문을 요청하는 등 법적 대응의 리스크를 줄이는데 주력하고 있다.

노조 "사측이 이런 식이면 거리로 나오는 수밖에"

외환은행 노조는 사측의 대응을 “공작수준”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특히 노사 협상단에 포함된 노조측 한 인사가 영업점으로 발령 난 것을 두고 “노조의 전열과 대화단 해체를 위한 사측의 꼼수”라고 비난했다.

또 외환은행 경영진이 비상경영 체제를 선언하고, 행장을 포함한 임원들의 급여를 반납한 것을 구조조정을 위한 수순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노조 한 관계자는 “향후 조기 합병을 위한 사측의 흔들기가 더욱 거세질 것”이라고 했다.

노조는 투쟁기금 모금과 투쟁방향 등에 내부 불만이 나오고 있다는 주장 역시 ‘사측의 노조 흔들기’의 연장선으로 봤다. 노조는 사측의 대응에 따라 ‘아스팔트 투쟁’으로 전환하겠다고 경고했다.

노조 관계자는 “투쟁기금 모금에 극소수 불만이 있을 수 있지만, 이 같은 의견은 노조 대의원대회에서 대의원 372명 중 3명만 찬성한 것”이라며 “이를 침소봉대하는 등의 사측 이런 태도가 계속되면 거리로 나오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금융권에선 통합의 지름길을 ‘노조의 통큰 양보’로 보고 있다. 노조 역시 이 같은 기대를 알면서도 투쟁모드를 전환할 명분이나 외부변수를 찾지 못하고 있다. 노조의 강경 대응이 통합의 시너지를 가로막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노사 협상 진척 없는데...'임종룡 변수' 주목

금융권에선 “조기합병 성패의 핵심 변수는 노사 간 대화-협상의 진척에 달려 있다”는 데 이견이 없다.

노사 역시 커지는 갈등을 대화와 타협을 통해 풀어야 한다는데 원론적으로 공감하고 있다. 가장 큰 문제가 중단된 대화가 아닌 사라진 신뢰라는 점 역시 공감하는 부분이다.

노사 협의에 진척이 없자 금융권은 시선을 밖으로 돌리고 있다. 특히 최대 외부 변수는 하나외환은행 조기통합에 적극적이었던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물러나고 임종룡 신임 위원장 내정자가 곧 취임하는 것이다.

이에 노사 모두 다음달 10일 열리는 임 내정자의 인사청문회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임 내정자가 통합과 관련해 어떤 입장을 내놓느냐에 따라 노사 갈등의 무게추가 어느 한쪽으로 쏠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와 관련, 외환은행 출신 한 금융계 인사는 “노사 모두 장기적 관점에서 외환은행을 발전시키는 데 뜻을 모아야 한다”며 “노조가 은행의 발전을 막은 사례나 경영진이 망친 사례를 서로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대승적으로 ‘외환승리’를 생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충재 기자 (cj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