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보안 '한층' 강화한 국회 "삼성, LG도 하는데..."


입력 2015.04.11 10:15 수정 2015.04.11 10:27        조소영 기자

지난 1일부터 엑스레이 수하물 검색기 본격 가동

9일 저녁 국회 본청 뒷편 출입문에서 X-ray 수화물검색기와 금속탐지기를 운영하고 있는 가운데 출입하는 사람들이 수화물 검색을 거치고 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가방을 검색기에 올려주세요."

지난 1일부터 국회 본청 출입문에 들어서면 들을 수 있는 말이다. 3월 한 달간 계도기간을 거쳐 이날부터 국회 본청에서는 엑스레이(X-ray) 수하물 검색기(이하 검색기)가 본격적으로 가동되기 시작했다.

이전에는 일반 방문객들이 명의 절차를 거치는 정문에만 검색기가 설치됐었지만 이번에는 그외 세 곳의 출입문에도 검색기가 설치됐다. 이로써 일반인은 물론 당직자든 기자든 반드시 검색기를 거쳐야만 국회를 들여다볼 수 있게 됐다.

국회의 보안 수위가 이처럼 강화된 데 대해 임동석 의회방호담당관은 최근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그간 우리나라 국회가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보안이 많이 약했었다"며 "국회는 각각 하나의 헌법기관인 국회의원들이 드나드는 한편 청와대 못지 않게 자주 회의가 열리는데 그때마다 국무총리, 장관들이 다니는 국가 중요시설이 아니냐"고 말했다. 지난 3월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피습사건도 보안 강화의 주요 요인이 됐다.

처음 국회의 보안 강화 프로젝트가 논의된 것은 지난해다. 정부 청사는 물론 삼성이나 엘지(LG) 같은 민간기업만 들어가려고 해도 검색기나 금속탐지기 등을 거쳐야하는데 국회는 이에 미치지 못한다는 문제제기가 나온 것이다. 정의화 국회의장에게도 이 같은 문제가 보고됐고 관련 예산이 확보돼 올해부터 검색기가 실시될 수 있었다.

검색 대상은 핸드백, 가방 등으로 카메라 등 취재장비 및 휴대폰, 지갑 등은 제외된다. 임 담당관은 "공항은 주머니에 있는 것들도 모두 꺼내야하지만 우리는 가방만 검사한다"며 "주로 검색하는 것은 사제 폭발물이나 과도 이상의 큰 흉기와 같은 것들"이라고 말했다.

검색기와 함께 전자출입시스템도 보안 강화 요소 중 하나다. 당초 국회에서는 코팅된 종이 기자증이나 공무원증을 배포했었는데 당사자들이 분실해도 분실신고를 잘 하지 않는 등 자칫 이를 잘못된 목적으로 습득한 이들이 국회로 출입, 테러가 일어날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깔끔한 디자인으로 탈바꿈한 전자출입증이 출입인들에게 발급됐다. 본청은 전자출입시스템이 거의 모든 출입문에 설치됐고 의원회관에는 6월 말쯤 시행될 예정이다. 이외에 국회 도서관, 의정관, 헌정기념관 등에도 전자출입시스템 설치가 예정돼있다.

한편 의회방호담당관실은 본격적으로 검색기를 구동시키기 전 '까칠한 기자들'에게도 협조를 구했다. 이 과정에서 "기존에는 출입증이 없어도 아는 사람이라고 출입을 봐줄 때도 있었다. 이왕 시행하려면 똑바로 하라"는 쓴소리부터 "의원들이 불법을 많이 저지르는데 왜 의원들은 검색하지 않느냐. 우리는 협조할 수 없다"는 '뼈있는 저항'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1년 일어났던 김선동 전 통합진보당 의원의 최루탄 투척 사건 등을 겨냥한 말이다. 임 담당관은 이에 대해 "검색기 실시 등 보안 수위를 높인 것은 의원 등을 보호하기 위한 것인데 보호대상을 검색할 수는 없는 일"이라며 "만약 의원이 범법행위를 했을 땐 사법기관으로부터 재판을 받아야지 사무처 직원들이 어떻게 할 수 있겠나"라고 말했다.

조소영 기자 (cho1175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조소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