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여당도 야당도 '특검'놓고 내부 '좌충우돌'


입력 2015.04.14 14:46 수정 2015.04.14 15:06        조소영 기자

새누리 지도부와 친이계간 '엇갈림', 새정치도 의견 통합 안돼

여야가 '성완종 리스트'에 관한 특별검사제 도입 여부를 놓고 설왕설래하고 있다. 기존에는 특검 실시 여부에 관한 입장을 당 차원에서 명확히 정했지만 이번에는 여야 모두 내부 정리가 되지 않고 있는 모습이다. 정치권에서는 이와 관련 여야 내부의 셈법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새누리, 당 지도부와 친이계 간 '엇갈림'

성 전 회장으로부터 직격탄을 맞은 새누리당 내부는 당 지도부와 친이(친이명박)계 및 개혁파들 간 의견이 엇갈린다. 당 지도부는 '선(先)검찰수사 후(後)특검'을 내세우는 반면 친이계 등은 '특검'을 주장하고 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지난 12일 여의도 당사에서 가진 긴급 기자회견에서 선검찰수사 후특검 입장을 강하게 강조했다. 그는 "검찰은 대한민국 검찰의 명운을 걸고 좌고우면하지 말고 오로지 국민만 바라보고 철저한 수사를 해주길 바란다"며 "검찰에 대한 외압이 없도록 새누리당에서 앞장서 책임지겠다"고 말했다.

김 대표와 일부 현안에서 의견 차를 보이기도 했던 유승민 원내대표도 이번에는 김 대표와 뜻을 같이 했다. 유 원내대표는 14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검찰에 철저하고 신속한 수사를 거듭 촉구한다"며 "검찰수사가 국민 의혹을 해소하지 못하거나 수사과정에서 조금이라도 의심 받을 일을 한다면 특검으로 바로 가겠다는 점도 거듭 확인한다"고 말했다. 역시 선검찰수사 후특검 주장이다.

반면 친이계 및 개혁적 성향의 일부 의원들은 검찰수사보다는 특검 실시에 무게를 싣고 있다. 친이계인 정병국 의원이 주도한 당내 소장개혁파 전·현직 의원 30여명은 지난 12일 국회 사랑재에서 모임을 열고 이번 사건에 대해 국민적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특검 도입 실시 가능성을 높게 둬야 한다고 말했다. 개혁 성향을 가진 당내 초·재선 의원 모임인 '아침소리'도 13일 특검 도입을 주장했다.

아침소리 간사인 하태경 의원은 14일에도 SBS라디오에 출연해 "바로 특검으로 가면 정쟁의 소지가 완전히 사라진다. 여야 합의로 특검이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이라며 "(특히 특검을 시행하면) 국회가 공무원연금개혁 등 산적한 국정과제에 집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김문수 새누리당 보수혁신특별위원장은 지난 12일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검찰수사만으로 의혹 해소가 될 게 아니다"며 "특검을 하든 뭐라도 해야 한다"고 했었다. 당내 대선주자 중 한 명으로 꼽히는 김 위원장의 이 같은 발언은 오명을 안은 현 정권과 거리두기를 꾀한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최고위원들 사이 '특검' 요구 나오는데...

야당도 의견 통합이 안되고 있기는 마찬가지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검찰의 성역 없는 엄정하고 신속한 수사"를 촉구하면서 특검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다. 국회 자원외교 국조특위 야당 간사인 홍영표 의원도 14일 YTN라디오에 출연해 "특검을 하려면 약 50일이 소요되는데 이 기간 동안 증거인멸이나 수사 대상자 도피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며 "수사에 공백이 없어야 하기 때문에 (지금 특검 촉구가) 안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대철 상임고문도 이날 같은 라디오에 출연해 "검찰수사를 지켜보고 미진할 경우, 국민과 국회가 요구할 때 특검을 하는 게 순리"라고 했다.

그러나 최고위원들 사이에서는 특검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주승용 최고위원은 지난 1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성 전 회장이 잘못된 검찰 수사를 죽음으로 세상에 알린 사건이다. 그런데 검찰이 또다시 이 수사를 맡는다는 것 자체가 잘못됐다"며 "지난해 제정된 특별감찰관법에 의한 특별감찰을 하던지 특검으로 가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유승희 최고위원도 "친박실세 연루 비리사건을 검찰에 맡기는 것은 '고양이 앞에 생선을 맡기는 꼴'"이라며 "국조는 수사권이 없어 권력형 비리사건에 한계가 있는 만큼 특검 실시를 강력히 주장한다"고 말했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14일 KBS라디오에 출연해 이 같은 의견에 힘을 더했다. 그는 이때까지 야당이 특검 실시를 강하게 요구해왔던 것에 비해 이번 사안에 대해서는 추진력이 떨어진다는 지적과 관련 "유 최고위원은 이 사건이 터지자마자 특검을 주장했고 다른 최고위원들도, 나도 마찬가지이고 문 대표도 주장하고 있다"며 "(특히 지도부 목소리가 없다고 하는데) 나는 새정치연합 지도부 아니냐. 왜 지도부에서 그런 얘길하지 않느냐고 하는데 열 번도 더했다"고 했다.

한편 야당이 기존과 달리 특검에 대한 목소리를 낮추는 것과 관련 정치권에서는 야당이 성 전 회장의 '여야인사들을 두루 꿰고 있는 인맥'을 두려워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자신들도 이번 사안에 있어 자유롭지 못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야당이 검찰수사 후 특검을 실시, 이번 사안을 하반기까지 끌어 내년 총선의 주도권을 잡으려 한다는 말도 나온다.

조소영 기자 (cho1175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조소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