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도 없는' 수족구병 이른 유행, '이것' 하면 예방 가능
예방접종 백신 없어, 전문가들 "감염성 질병은 손씻기가 최고의 예방책"
절기상 ‘입하’를 맞아 기온이 올라가면서, ‘수족구병’이 때이른 유행조짐을 보이고 있다. 여름철 영유아들에게서 자주 발생하는 전염성 질환인 데다, 예년보다 두달이나 이른 시기에 찾아온 만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질병관리본부가 지난달 말 전국 100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족구병 표본 감시 결과, 외래 환자 1000명당 수족구병 환자 수는 3.8명으로 3주 전(3월 29일~4월 4일) 당시 수치인 1.8명보다 2배 이상 늘었다. 특히 올해는 기온 상승이 앞당겨지면서 수족구병의 유행시기 역시 일찍 찾아온 것으로 나타났다.
수족구병은 손과 발, 혀, 잇몸 등에 붉은 수포자국이 올라오는 증상을 보이며, 합병증이 없는 경우 보통 1주일 정도가 지나면 증상이 완화된다. 문제는 수족구병이 전염력이 워낙 강하며, 특히 엔테로바이러스 71에 의한 경우, 발열과 두통, 목이 뻣뻣해지는 증상 등으로 나타나는 무균성 뇌수막염을 일으킬 수 있다.
아직까지 수족구병 예방접종 백신은 없는 상태다. 따라서 예방이 최선 책이며, 가장 효과적인 예방책은 외출 후 양치와 손을 씻는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아울러 물을 끓여먹는 것 또한 중요하다.
이에 대해 질병관리본부 측은 “사람의 몸은 세균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올바른 손 씻기만으로도 감염성 질환의 70%를 예방할 수 있다”며 손씻기와 양치를 적극 권장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