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당 지도부 방침은 국민연금 50% 빼는 것"
최고위 이후 기자들과 만나 "야당과의 협상 힘들어 질 것"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11일 최근 합의 처리가 무산된 공무원연금 개정안과 관련 “특위에서 나온 합의안 대로 통과시키고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50% 인상 문제는 제외한 국회 규칙을 만드는 걸로 하자는 것이 지도부의 방침”이라고 밝혔다.
유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이후 기자들과 만나 ‘공무원연금 관련 당내 이견이 다 정리된거냐’는 질문에 “당 지도부 방침이 50%를 빼고 협상하자는 것”이라며 이처럼 답했다.
유 원내대표는 “양당 대표와 원내대표가 합의한 안에 대해서 문제 삼는 분들은 없다”며 “5월 2일 합의문을 만들 때 야당에서는 ‘50-20’(국민연금 소득대체율 50%로 인상, 공무원연금개혁 재정절감분 20%를 공적연금 강화에 투입)을 넣자고 했고 우리는 반대해서 빠진 것이기 때문에 ‘존중한다’는 표현을 넣었는데 그 표현에 대해서는 별 문제 없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예상되는 야당의 반발에 대해 “당연히 심할 것이다. 협상해 봐야겠지만 앞으로 상당히 어려워질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전망했다.
친박 지도부 "공무원연금-국민연금 연계는 잘못"
한편, 이에 앞서 열린 최고위에서는 국민연금 개정과 관련 당 지도부 간 미묘한 입장차가 확인됐다. 김무성 대표는 국민을 향해 “이유여하를 막론하고 공무원연금 처리 못된 것에 사과 말씀 드린다”며 “야당은 국민의 개혁 열망을 더 이상 외면하지 말고, 5월 2일 서명한 합의문을 존중해 법안을 통과시켜서 국회에 대한 국민 신뢰 회복의 정치를 보여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김 대표는 “국회선진화법으로 인해 공무원연금 개혁은 야당의 합의 없이는 한 발짝도 나가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야당과의 기존 합의문의 내용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원내대표도 “공무원연금 개혁이 지난 6일 본회의에서 처리되지 못해 국민 여러분께 거듭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 면서도 “어떤 정부든 국민연금 개혁에 나서야 한다는 필요성은 여야 막론하고 인정해야 할 것이다. 이대로 가면 2060년에 연금기금이 고갈된다”고 국민연금 개정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반면, ‘친박’ 서청원 최고위원은 “야당과의 합의를 존중해서 하루 빨리 처리하는 것이 좋다”면서도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50% 합의와 관련 국회 규칙에 첨부하는 문제는 받아들일 수가 없는 사안”이라고 밝혔다.
서 최고위원은 이날 회의에서 “당에서 문제를 제기한 것은 국민연금이다. 국민연금 문제의 핵심은 국민 부담이 얼마나 늘어나느냐 것”이라며 “과거 (참여정부 시절) 소득대체율을 60%에서 40%로 낮출 때 새누리당이 동의했다. 이제 와서 다시 인상하자는 것은 맞지 않다” 단호하게 말했다.
지난주 최고위에서 공무원연금 개혁과 관련, 김 대표와 각을 세웠던 김태호 최고위원 역시 “국민연금을 갑작스럽게 공무원연금 개혁과 연계시키는 건 잘못됐다는 걸 다시 한 번 말씀드린다”며 “적당하게 책임을 피하기 위해 협상을 위한 협상, 원칙 없는 협상으로 임해선 안 된다. 그럼 큰 재앙을 장기적으로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전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