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창건 70주년때 SLBM 공개할 듯
존 케리 미 국방장관 "한-미 양국 공동대응 논의"
북한이 오는 10월 10일 열리는 노동당 창건 7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열병식 등의 행사를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번 열병식때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비롯해 최근 수중 사출실험에 성공한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Submarine Launched Ballistic Missile)' 등 신무기를 공개할 것으로 전망된다.
17일 연합뉴스는 정부의 한 소식통을 인용해 "당 창건일이 5개월이나 남았는데 북한은 벌써부터 TF를 구성해 열병식 등의 행사 준비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 소식통은 "당 창건일 행사가 예년에 비해 대규모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며 "열병식 때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비롯해 최근 수중 사출실험에 성공한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 등 신무기를 공개해 군사적 능력을 과시하려고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국가정보원은 지난 13일 국회 정보위원회에 현영철 북한 인민무력부장이 전격 숙청됐다고 보고하면서 당창건 70주년 행사 준비 동향도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지난 9일 북한이 공개한 SLBM 발사 사출 시험을 둘러싸고 제기되는 조작설과 관련해 국회 정보위원회에 "바지선이 아닌 잠수함에서 이뤄진 것으로, 북한의 발표는 조작이 아니다"라고 보고했다.
북한은 SLBM 개발을 위해 16번의 관련 시험발사를 했으나 실패했고 이번 17번째로 수중 사출시험을 해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수중 사출 단계를 넘어 목표물을 타격하는 시험발사까지는 아직 기술적으로 극복할 부분이 많다고 군사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북한이 실험한 SLBM은 사출 직후 150m를 날아간 더미탄(모의탄)으로 실전 배치까지 4~5년이 걸린다는 관측이다.
그러나 SLBM은 조만간 수중에서 핵미사일을 발사하는 체계를 보유하게 된다는 점에서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수중에서 발사되는 SLBM은 정찰위성이나 레이더로 사전에 그 징후를 포착할 수 없기 때문에 상당히 위협적이다.
아울러 북한이 당 창건 70주년 전후로 장거리로켓을 발사하고 이어 4차 핵실험까지 단행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북한이 인성위성이라고 주장하는 장거리로켓 발사에 대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대북 추가 제재를 가하면 핵실험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한편,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18일 박근혜 대통령과 윤병세 외교부 장관을 잇달아 만나, 다음 달 있을 박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의 정상회담 의제를 조율할 예정입이다.
특히 이번 외교장관 회담에서는 북한의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SLBM 위협 등에 대한 한미 양국의 공동 대응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